일본 정부가 부정부패 혐의로 징역형을 선고받은 탁신 친나왓 전 태국 총리의 자국 방문을 허용키로 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빚어지고 있다고 태국 현지 언론들이 16일 보도했다.
군부 쿠데타로 권좌에서 축출된 탁신 전 총리는 지난 2008년 대법원의 부정부패 공판에 참여하지 않고 해외로 도피했으며 대법원은 궐석재판을 통해 탁신 전 총리에게 징역 2년형을 선고했다.
일본 정부는 그동안 입국관리법상 징역.금고 1년 이상의 실형 판결을 받은 외국인에 대해 입국을 금지한다는 규정에 따라 탁신 전 총리의 입국을 거부해왔으나 지난주 출범한 잉락 친나왓 정부의 요청으로 탁신 전 총리의 입국을 예외적으로 허용했다.
에다노 유키오 일본 관방장관은 지난 15일 기자회견에서 “태국 정부가 탁신 전 총리에게 일본 입국 비자를 발급해 줄 것을 요청해 탁신 전 총리의 입국을 허용키로 했다”고 밝혔다.
탁신 전 총리는 22일 일본에 입국, 대지진 발생 현장을 방문하고 민주주의와 경제 등을 주제로 대학교 등에서 강연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아피싯 웨차치와 전 총리는 “탁신 전 총리는 아직까지 범죄자 신분”이라면서 “탁신 전 총리의 일본 입국에 관여한 태국 관리들은 조사를 받아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탁신 전 총리의 막내 여동생인 잉락 총리와 태국 외교부는 현재 탁신 전 총리의 일본 입국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앞서 반탁신계인 아피싯 전 총리가 집권하고 있던 지난 2008년 12월과 2009년 4월에 태국 정부는 탁신 전 총리의 외교여권과 일반 여권을 각각 박탈한 바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