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보하이(渤海)만 펑라이(蓬萊) 19-3 해상유전에서 기름 유출이 계속되고 있다. 9곳의 새로운 유출 지점이 발견되면서 수습 작업의 장기화와 해양 오염 악화가 우려된다.
중국 국가해양국 북해분국이 해양감시선 2척과 관측 항공기 1대를 띄워 사고해역을 조사한 결과 지난 6월 17일 유출사고가 발생한 C플랫폼 부근에서 19일 길이 5~10㎞, 폭 50~100m의 기름띠가 발견됐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21일 보도했다.
중국해양석유총공사(CNOOC)와 펑라이 19-3 유전을 공동개발하고 해상유전의 관리를 맡고 있는 코노코필립스중국석유 측은 당국의 확인 요청에 “C플랫폼 북측 15m 범위에서 9곳의 원유 유출 지점이 발견됐다.”고 보고했다. 당국의 관측 결과 은회색 및 무지개색을 띠고 있는 추가 오염 해역은 1.53㎢에 이른다. 인근 해수의 석유 농도는 53.0㎍/ℓ로 차츰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기름유출 지점 추가 확인과 관련해 국가해양국, 환경보호부 등 7개 부처 합동조사팀은 20일 베이징에서 회의를 열어 코노코필립스 측에 “유출 원인 규명과 함께 빨리 추가 유출을 막아 새로운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라.”고 긴급지시했다.
펑라이 19-3 유전에서는 지난 6월 초부터 기름 유출이 시작됐으며 한때 서울시 면적의 7배 규모인 4340㎢의 해역이 3급수로 오염된 바 있다. 중국 당국은 CNOOC와 코노코필립스 측을 상대로 수억 위안대의 손해배상을 협의 중이며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에 대비해 법적대응을 대리할 로펌을 공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중국 국가해양국 북해분국이 해양감시선 2척과 관측 항공기 1대를 띄워 사고해역을 조사한 결과 지난 6월 17일 유출사고가 발생한 C플랫폼 부근에서 19일 길이 5~10㎞, 폭 50~100m의 기름띠가 발견됐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21일 보도했다.
중국해양석유총공사(CNOOC)와 펑라이 19-3 유전을 공동개발하고 해상유전의 관리를 맡고 있는 코노코필립스중국석유 측은 당국의 확인 요청에 “C플랫폼 북측 15m 범위에서 9곳의 원유 유출 지점이 발견됐다.”고 보고했다. 당국의 관측 결과 은회색 및 무지개색을 띠고 있는 추가 오염 해역은 1.53㎢에 이른다. 인근 해수의 석유 농도는 53.0㎍/ℓ로 차츰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기름유출 지점 추가 확인과 관련해 국가해양국, 환경보호부 등 7개 부처 합동조사팀은 20일 베이징에서 회의를 열어 코노코필립스 측에 “유출 원인 규명과 함께 빨리 추가 유출을 막아 새로운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라.”고 긴급지시했다.
펑라이 19-3 유전에서는 지난 6월 초부터 기름 유출이 시작됐으며 한때 서울시 면적의 7배 규모인 4340㎢의 해역이 3급수로 오염된 바 있다. 중국 당국은 CNOOC와 코노코필립스 측을 상대로 수억 위안대의 손해배상을 협의 중이며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에 대비해 법적대응을 대리할 로펌을 공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1-08-22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