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산아가 정상아에 비해 자폐증에 걸릴 확률이 5배나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의 의학 관련 잡지인 ‘소아과’는 20년간의 임상시험을 토대로 17일(현지시간) 이런 내용의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미국의 연구자들은 1984∼1987년 뉴저지 주의 3개 카운티에서 태어난 조산아 86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이들은 태어날 당시 몸무게가 500g에서 2㎏에 불과한 조산아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들 조산아 가운데 5%가 이후 자폐증 판정을 받았다. 이는 정상아의 자폐증 유병률 1%에 비해 월등하게 높은 수치다.
조산아들이 건강이나 인지능력에 문제가 있을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는 오래전에 나왔지만 조산아와 자폐증과의 연관관계를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를 주도한 펜실베이니아 간호대학 자폐증, 발달장애 및 역학 연구센터의 제니퍼 핀토-마틴 교수는 “조산아들이 인지능력에 문제점을 드러낼 수 있다”면서 조산아들의 부모들에 대해 자녀의 자폐증 여부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도록 권고했다.
연합뉴스
미국의 의학 관련 잡지인 ‘소아과’는 20년간의 임상시험을 토대로 17일(현지시간) 이런 내용의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미국의 연구자들은 1984∼1987년 뉴저지 주의 3개 카운티에서 태어난 조산아 86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이들은 태어날 당시 몸무게가 500g에서 2㎏에 불과한 조산아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들 조산아 가운데 5%가 이후 자폐증 판정을 받았다. 이는 정상아의 자폐증 유병률 1%에 비해 월등하게 높은 수치다.
조산아들이 건강이나 인지능력에 문제가 있을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는 오래전에 나왔지만 조산아와 자폐증과의 연관관계를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를 주도한 펜실베이니아 간호대학 자폐증, 발달장애 및 역학 연구센터의 제니퍼 핀토-마틴 교수는 “조산아들이 인지능력에 문제점을 드러낼 수 있다”면서 조산아들의 부모들에 대해 자녀의 자폐증 여부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도록 권고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