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상황 전혀 모르는 상태 “원자로 안정” 정부발표 불신
장순흥 한국원자력학회장(KAIST 원자력공학과 교수)은 6일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와 주변 환경 복구에 최소한 10년에서 길게는 40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장순흥 KAIST교수
장 교수는 후쿠시마 원전 수습의 가장 큰 과제로 원전 내부의 실태 파악을 꼽았다. “현재 원전 내부가 어떤 상황인지 전혀 모르는 상황이고, 단지 방사선 유출이 2호기에서 집중적으로 이뤄졌다는 점만 알 수 있다.”면서 “격납용기의 손상된 부분을 찾아 복구하고 물을 채우는 작업이 10년 이상 걸릴 것”이라고 예측했다.
장 교수는 후쿠시마 사고가 천재지변에서 시작됐지만, 대비 소홀과 사후 대처 부실이 총체적으로 작용한 인재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15m 쓰나미(지진해일) 가능성을 낮게 상정, 방벽을 10m만 설치하면서 원전이 손상을 입은 데다 매뉴얼과 다른 일본 총리의 결정 때문에 바닷물 투입시기가 늦춰져 대량의 방사성물질이 유출됐다는 것이다.
투명하지 않은 논의 구조와 함께 공식 발표마저 축소하기에 급급, 자국민과 세계에 불안감을 증폭시킨 점은 원전 자체의 신뢰성에 치명상을 입혔다고 했다. 장 교수는 후쿠시마 사고에 따른 11만명의 피난과 관련, “일본 정부가 현실에 비해 비상대피 기준(방사선피폭량)을 너무 보수적으로 잡아 대피인원이 많았다.”면서 “대피한 사람들은 떠나지 않은 사람에 비해 재산뿐만 아니라 건강이나 심리적 피해가 훨씬 컸다.”고 아쉬워했다. “국제기준을 적용했다면 대피 인원은 수천명 수준으로 줄일 수 있었다.”고 말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2-03-07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