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모기를 통해 감염되는 웨스트나일 바이러스의 피해가 역대 최악의 수준에 이르렀다고 AP·AFP통신이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지난 4일 현재 웨스트나일 바이러스로 인한 사망자는 87명, 감염자는 1993명이다. 이는 지난주에 비해 사망자는 32%, 감염자는 25% 늘어난 것으로, 1999년 미국에서 첫 감염자가 보고된 이후 가장 많은 희생자가 발생했다. CDC는 웨스트나일 바이러스 감염이 전국적인 현상이지만, 감염자의 70%가 텍사스, 미시시피, 루이지애나, 오클라호마, 미시간, 사우스다코타 등 6개 주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텍사스주 보건당국은 웨스트나일 바이러스 사망자가 최소 43명이며, 감염자 중 신경계통에 이상이 생긴 사례도 510건에 이르러 전국의 45% 수준이라고 이날 밝혔다.
모기를 통해 감염되는 웨스트나일 바이러스는 발진과 고열, 신체 마비 등을 동반하며 노약자나 어린이와 같은 면역체계가 약한 감염자는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아직까지 예방백신이나 치료제는 개발되지 않은 상태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지난 4일 현재 웨스트나일 바이러스로 인한 사망자는 87명, 감염자는 1993명이다. 이는 지난주에 비해 사망자는 32%, 감염자는 25% 늘어난 것으로, 1999년 미국에서 첫 감염자가 보고된 이후 가장 많은 희생자가 발생했다. CDC는 웨스트나일 바이러스 감염이 전국적인 현상이지만, 감염자의 70%가 텍사스, 미시시피, 루이지애나, 오클라호마, 미시간, 사우스다코타 등 6개 주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텍사스주 보건당국은 웨스트나일 바이러스 사망자가 최소 43명이며, 감염자 중 신경계통에 이상이 생긴 사례도 510건에 이르러 전국의 45% 수준이라고 이날 밝혔다.
모기를 통해 감염되는 웨스트나일 바이러스는 발진과 고열, 신체 마비 등을 동반하며 노약자나 어린이와 같은 면역체계가 약한 감염자는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아직까지 예방백신이나 치료제는 개발되지 않은 상태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2-09-07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