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덴마크 총리와 10일 전격 회동

시진핑, 덴마크 총리와 10일 전격 회동

입력 2012-09-07 00:00
수정 2012-09-07 0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불만표출… 허리부상… 권력투쟁… 결국 낭설?

‘불만표출설→허리부상설→권력투쟁설’

다음달 공산당 전국대표대회(전대)에서 총서기에 올라 대권을 거머쥘 예정인 중국의 시진핑(習近平) 부주석이 지난 1일 이후 공식석상에 일절 모습을 드러내지 않으면서 각종 소문이 무성하게 퍼지고 있다. 이를 의식한 듯 중국은 시 부주석과 덴마크 헬레 토르닝슈미트 총리의 10일 회동계획을 전격 공개했다.

6일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微博)에는 시 부주석이 전날 미국 힐러리 클린턴 장관과의 회담을 전격 취소한 것을 계기로 권력투쟁설이 확산됐다.

‘회담취소’ 등의 검색어를 입력하면 “시 부주석이 입원한 것은 ‘왕위’ 계승 플랜에 변동이 생겼다는 신호다.”, “시 부주석이 내부 인사로부터 배신을 당했다.”는 등의 확인되지 않은 괴소문이 온갖 은어와 기호로 표기된 채 떠올랐다. 삭제를 피하기 위해 클린턴 장관은 ‘HC’, 시 부주석은 ‘북방 고위층’ 등으로 표현돼 있다. 홍콩 시사평론가 린허리(林和立)는 “권력교체가 예정된 중요한 시기에 시 부주석이 중요한 행사에 참석하지 못했다는 것은 긴히 처리해야 할 ‘돌발사건’이 발생했을 가능성을 의미하는 것”이라며 권력투쟁설에 힘을 실었다.

외신 및 중화권 언론들도 각종 추측을 쏟아냈다. 당초 클린턴 장관과 양제츠(楊潔?) 외교부장의 공동 기자회견이 전날 30분 앞당겨지면서 회담 취소 사실이 공개됐고, 중국이 미국의 ‘아·태정책’에 대한 불만을 회담 취소라는 방식으로 표출했다는 시각이 제기됐다. 클린턴 장관이 이번 아·태 순방길에 남중국해 문제를 집중 제기하는 등 ‘중국 봉쇄’에 골몰한 만큼 차기 지도자가 만날 필요가 없다는 판단을 내렸다고 홍콩 명보가 분석했다.

반면 워싱턴포스트는 “중국 정부가 회동 직전인 지난 4일 밤 11시쯤 시 부주석의 허리 부상을 내세워 회담 취소를 통보했고, 시 부주석은 싱가포르 리셴룽 총리와의 회담도 취소했다.”며 미 관리가 전한 ‘허리부상설’을 보도했다. 하지만 홍콩 언론들은 “미국의 체면을 고려해 싱가포르 총리와의 회동도 취소한 것”이라며 여전히 ‘불만표시’에 무게를 뒀다.

중국 언론들은 시 부주석이 지난 1일 공산당 중앙당교 행사에 참석한 것을 마지막으로 그의 동정을 보도하지 않았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2012-09-07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