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시진핑시대 개막] 위정성 상무위원, 최고 명문가 출신 태자당의 ‘맏형’격

[中 시진핑시대 개막] 위정성 상무위원, 최고 명문가 출신 태자당의 ‘맏형’격

입력 2012-11-16 00:00
수정 2012-11-16 00: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위정성(兪正聲)은 화려한 가문과 이에 따른 방대한 네트워크, 덩샤오핑(鄧小平) 아들의 적극적인 지원이 강점으로 꼽힌다. 아버지 위치웨이(??威·공산혁명 때 황징으로 개명)는 1950년대 초반 중국 톈진(天津)시 시장과 서기를 역임했다. 팔로군 종군기자 출신인 어머니 판진(范瑾)은 베이징시 부시장을 지냈다. 태자당(당·정·군 혁명 원로 자제 그룹)으로 분류되는 이유다.

그도 문화대혁명(문혁)의 광풍을 피해 가진 못했다. 여동생 위후이성(兪惠聲)이 박해를 못 이기고 자살하는 등 방계까지 모두 9명의 가족을 잃었다. 이 같은 가족사를 알고 있는 덩샤오핑의 장남 덩푸팡(鄧樸方)은 그의 최대 후원자다.

장쩌민(江澤民) 전 주석과도 인연이 깊다. 장 전 주석은 위정성 아버지의 부하직원이었고 장 전 주석이 1980년대 초 전자공업부 부장으로 있던 시절 위정성이 직속 부하직원이었다. 1986년 국가안전부 외사부장이던 형 위창성(兪强聲)이 미국으로 망명하면서 발목이 잡혔지만 꾸준히 요직을 거쳐 가며 지금에 이르렀다.



2012-11-16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