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나로호, 北로켓과 비교할 바 아니다”

美 “나로호, 北로켓과 비교할 바 아니다”

입력 2013-01-31 00:00
수정 2013-01-31 05: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무부 대변인 “핵실험 강행하면 추가 조치”

미국 정부는 30일(현지시간) 한국의 첫 우주발사체(로켓) 나로호(KSLV-1)와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는 비교 대상이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빅토리아 뉼런드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한국의 우주 활동을 북한의 행동과 비교할 근거가 없다는 게 우리 견해”라면서 “북한은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라 어떤 발사 행위도 완전히 금지돼 있지만 한국은 책임있게 우주발사 프로그램을 진행해 왔다”고 말했다.

뉼런드 대변인은 특히 “한국은 국제 비확산 조약의 회원국으로 미사일과 로켓 기술의 개발 및 보유와 관련한 광범위한 지침을 충실하게 이행해 왔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북한을 이른바 ‘우주 클럽(Space Club)’으로 인정하느냐’는 질문에는 “그 정의를 잘 모르겠다”면서 “다만 우리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기술을 포함한 모든 행동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뉼런드 대변인은 “한국은 (우주개발과 관련해) 군사적인 의도가 없다는 점을 분명하게 밝히고 있기 때문에 이는 북한의 방식과는 완전히 다른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그러면서 “북한은 이(나로호 발사)를 위협으로 받아들일 필요가 없다”며 “북한도 다른 나라들과 같은 (우주개발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지만 그들의 행동은 이와는 거리가 멀다”고 비판했다.

그는 나로호 발사에 대해 “미국은 옵서버로서 한국이 1월 30일 나로우주센터에서 위성을 성공적으로 발사시켰음을 확인한다”고 말했다.

이밖에 뉼런드 대변인은 북한의 핵실험 위협에 대해서는 “유엔 안보리 결의안 2087호 위반이며 이에 따른 추가적인 조치가 있을 것임을 이미 분명히 밝혔다”면서 “우리는 그런 입장을 견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2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