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새 귀에서 내비게이션 역할 물질 발견

철새 귀에서 내비게이션 역할 물질 발견

입력 2013-04-27 00:00
수정 2013-04-27 12: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지의 쇠공, 자기장 센서일지도

철새들이 해마다 수천 ㎞를 이동해 기후가 다른 서식지를 찾아가는 비결은 지구 자기장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어떻게 자기장을 감지하는 지가 숙제였는데 최근 오스트리아 과학자들이 중요한 단서를 발견했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26일 보도했다.

빈 분자병리학 연구소 과학자들은 비둘기의 내이(內耳) 속에 있는 모(毛)세포의 지각 뉴런에서 공 모양으로 뭉쳐 있는 철 성분을 발견했다고 커런트 바이올로지 저널에 발표했다.

모세포는 소리와 중력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특이한 것은 세포마다 쇠공이 딱 한 개씩 같은 부위에 들어 있다는 사실이다.

연구진은 “이는 매우 놀라운 일이다. 쇠공은 비둘기든 타조든 모든 새의 귓속에 다 들어있지만 사람에는 없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수십년간의 연구에서도 이처럼 눈에 잘 띠는 쇠공이 발견되지 않은 것이 놀랍다고 말했다.

앞서 이 연구소의 데이비드 키즈 박사는 비둘기의 부리에 있는 철성분 세포가 이전까지 자기장 센서로 여겨져 왔으나 사실은 단순한 혈액세포라는 사실을 밝혀냈으며 새 연구는 키즈 박사의 연구를 토대로 한 것이다.

키즈 박사는 “새로 발견된 세포는 뉴런이므로 자기장 센서일 가능성이 훨씬 더 크다. 그러나 자기장 감지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이해하려면 갈 길이 멀다. 어쩌면 새로 발견된 쇠공이 자기장 센서일지도 모르지만 이를 밝혀내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