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에 독극물 편지’ 美여배우, 징역 18년형

‘오바마에 독극물 편지’ 美여배우, 징역 18년형

입력 2014-07-17 00:00
수정 2014-07-17 05: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국 법원이 16일(현지시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마이클 블룸버그 전 뉴욕 시장에게 독극물 편지를 보낸 혐의로 기소된 단역 여배우에게 중형을 내렸다.

AP 통신과 텍사스 지역 언론에 따르면, 텍사스주 연방지방법원은 독극물 소지 및 생산 혐의로 기소된 섀년 리처드슨(36)에게 징역 18년형을 선고했다.

리처드슨은 공판에서 “절대 사람을 해칠 의도가 없었고, 난 나쁜 사람이 아니다”며 결백을 강조했으나 재판부는 이를 일축했다.

리처드슨은 지난해 12월 검찰과 형량경감 협상 끝에 최고 징역 18년형을 받는 조건에 유죄를 인정했다.

텍사스주 북쪽 뉴보스턴에 사는 리처드슨은 작년 6월 오바마 대통령, 블룸버그 전 시장, 불법 총기 사용에 반대하는 모임의 마크 글레이즈 국장 앞으로 인체에 치명적 독성물질인 리친(Ricin) 분말이 묻은 편지를 보낸 혐의로 체포됐다.

그는 남편이 한 짓이라며 혐의를 완강히 부인했으나 온라인에서 리친 구매 사실을 검찰에 들킨 바람에 순순히 범행을 자백했다.

TV 드라마와 영화에서 단역으로 출연한 리처드슨은 여섯 아이의 엄마로 경찰에 체포된 뒤 막내를 조산했다.

앞서 5월에도 오바마 대통령과 로저 워커(공화·미시시피) 연방상원의원 등에게 역시 리친 분말이 든 편지를 보낸 혐의로 기소된 미시시피주 출신 남성 에버렛 두치케(41)가 징역 25년형을 선고받았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