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친러시아 반군 소행 결론”

“미국, 친러시아 반군 소행 결론”

입력 2014-07-19 00:00
수정 2017-02-20 14: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지난 17일(현지시간) 발생한 말레이시아항공 여객기 피격 사건에 대한 초기 조사를 토대로 우크라이나 내 친(親) 러시아 반군에 의해 자행된 것으로 결론 내렸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한 관리의 말을 인용해 18일 보도했다.

익명을 요구한 이 관리는 공격에 SA-11 지대공 미사일이나 유사한 종류의 무기가 동원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신문은 그러나 이 관리가 최종적인 결론이 아니라 분석가들이 아직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신중한 자세를 보였다고 전했다.

AFP 통신도 초기 검토 결과, 여객기 격추의 책임이 친러시아 분리주의 세력에 있는 것 같다는 미국 정보기관 소식통의 말을 인용했다.

역시 자신의 신원을 밝히지 않은 이 소식통은 통신에 “분리주의자들이 여객기를 격추했다는 징후들이 있지만, 최종 결론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오바마 대통령이나 백악관, 국무부 등은 여전히 여객기 추락 원인을 공식적으로 확정하지 않고 신중한 자세를 견지하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전날 이번 사태를 ‘끔찍한 비극’이라고 규정하면서 원인과 책임 소재를 규명하려면 증거 보전과 즉각적인 조사가 가장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날 오전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번 사태와 관련한 미국의 입장을 다시 밝힐 예정이다.

미국 정부는 이번 사태의 원인 조사를 지원하기 위해 연방수사국(FBI)과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 등의 인력을 파견할 준비가 돼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