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IS 상대 무력사용권 3년 기한 요청할 듯”<가디언>

“오바마, IS 상대 무력사용권 3년 기한 요청할 듯”<가디언>

입력 2015-02-11 16:29
수정 2015-02-11 16: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의회에 조만간 승인 요청할 이슬람국가(IS) 상대 무력사용권의 기한을 3년으로 요구할 것이라고 영국 일간지 가디언이 미 의회 소식통을 인용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에 따라 이 무력사용권은 다음 정부에도 계승된다. 오바마 대통령이 요구할 무력 사용권은 전장을 이라크와 시리아에만 한정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앞서 미국 언론들은 오바마 대통령이 IS를 상대로 군사력을 동원할 수 있는 무력사용승인안’(AUMF)을 의회에 조만간 승인 요청할 것이라고 이날 보도했다.

미국 언론들은 오바마 대통령이 무력사용권 승인을 얻어내기 위해 지상군 파병을 포함해 더 공격적인 대응을 원하는 공화당 강경파와 제2의 중동전쟁 확산을 꺼리는 민주당의 주장을 모두 반영한 절충안을 마련했다고 전했다.

절충안의 내용에 대해 미 의회전문지 힐(The Hill)은 ‘지속적이고 공세적인 지상전’(enduring offensive ground operations)을 금지하는 조항이라고 보도했다.

지속적 지상전 금지는 곧 필요하면 언제든 제한적으로 지상군을 투입할 수 있다는 의미로, IS 격퇴 작전의 중대한 전략 변화를 의미한다.

가디언은 이와 관련한 이날 보도에서 오바마 대통령이 이번 무력사용권의 승인 기한을 임기 이후까지인 3년으로 상정했다고 밝혔다.

또 9·11 이후 지속해 온 알카에다와의 전쟁을 위한 무력사용권도 철회하지 않을 방침이어서 2개의 무력사용권이 공존하게 되며, 이는 차기 정부가 두 개의 전쟁을 물려받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이는 오바마 대통령이 전임 조지 W 부시 대통령으로부터 이라크전과 아프간전이라는 두 개의 전쟁을 물려받은 것과 마찬가지라고 가디언은 풀이했다.

아울러 오바마 대통령은 IS에 대한 무력 사용 지역을 이라크와 시리아에 국한하지는 않고 조종사가 격추되는 상황, IS 연계 세력을 타격해야 할 상황 등 예외적인 상황에서는 이들 지역 밖에서도 허용할 방침이라고 가디언은 덧붙였다.

한편, 백악관은 가디언의 보도에 대해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았다.

소영철 서울시의원, 한국외식업중앙회 마포구지회 12년 이끌고 퇴임…통합·혁신의 리더십으로 외식업계 성장 이끌어

한국외식업중앙회 마포구지회는 지난 2일, 창립 60주년을 맞아 제60회 정기총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총회에서는 지난 2013년부터 12년간 마포구지회를 이끌어온 소영철 지회장의 퇴임식이 함께 진행됐으며, 오랜 기간 외식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공로패가 수여됐다. 이날 행사에는 박강수 마포구청장을 비롯해 조정훈·국회의원, 마포구 시·구의원 및 관내 주요 단체장들이 참석해 축하와 감사의 뜻을 전했다. 소영철 지회장은 지난 2013년, 치열한 경선 끝에 지회장에 취임한 이후, “통합의 리더십”을 바탕으로 분열과 갈등을 봉합하고 마포 외식업계를 하나로 이끄는 데 헌신해왔다. 그 결과 2014년에는 창립 50주년 기념식을 성공적으로 개최하고, 마포 외식업 반세기의 역사를 집대성한 기념 서적을 발간하는 등 의미 있는 성과를 남겼다. 특히 소 지회장은 외식업 단체의 재정 자립 기반 마련에 앞장섰다.월세 300만원의 임대사무실에 머물던 상황에서 회원들의 자발적인 기부와 철저한 예산 절감을 통해 장기 상환계획을 세웠고, 2021년 마포구지회 독립 사옥을 완공했다. 이 사례는 서울시 외식업 지회 중에서도 보기 드문 성공적인 자립 사례로, 마포 외식업계의 위
thumbnail - 소영철 서울시의원, 한국외식업중앙회 마포구지회 12년 이끌고 퇴임…통합·혁신의 리더십으로 외식업계 성장 이끌어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