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잡아먹는 괴물 메기떼 충격

새 잡아먹는 괴물 메기떼 충격

입력 2015-05-04 14:43
수정 2015-05-06 16: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새를 잡아먹는 커다란 메기떼가 학계에 보고돼 충격을 주고 있다.

 

세계적인 과학잡지 디스커버 매거진은 5일(현지시간) 온라인판을 통해 프랑스 연구진이 프랑스 남서부에 사는 메기 무리가 비둘기를 사냥하는 법을 터득한 사실을 발견했다고 전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플로스원을 통해 발표됐다.

 

보도에 따르면 이 메기는 평균 몸길이가 1~1.5m나 되는 유럽메기종으로 유럽에서 가장 큰 민물고기로 알려졌다.

이미지 확대


이 메기 종은 지난 1983년 프랑스 타른 강 일대에 유입된 외래종으로 먹잇감을 찾는 과정에서 비둘기를 사냥하는 법을 터득한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진은 전했다.

 

연구진은 지역 어부들에게 소문을 듣고 지난 2011년부터 연구를 시작했다. 이들은 이 과정에서 메기가 비둘기를 사냥하는 모습을 총 54번 촬영할 수 있었다. 특히 놀라운 것은 메기들의 사냥 성공률이 28%나 됐다는 점이다.

 

연구진은 메기의 주둥이에 난 민감한 수염이 비둘기가 움직일 때 수면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포착해 사냥 성공률을 높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연구를 이끈 줄리앙 뀌쉬루세 프랑스 국립과학원(CNRS) 박사는 “비둘기를 사냥하는 메기들의 행동이 마치 바다사자를 습격하는 범고래와 흡사하다.”고 설명했다.

 

사진=플로스원 캡처

윤태희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