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3차 구제금융협상 개시 27일로 연기…시작부터 ‘삐걱’

그리스 3차 구제금융협상 개시 27일로 연기…시작부터 ‘삐걱’

입력 2015-07-25 10:20
수정 2015-07-25 10: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협상장소·내용 등 합의 못 해그리스 증권시장 27일부터 재개장

그리스와 국제 채권단의 3차 구제금융 협상이 시작부터 협상장소 선정 문제 등으로 연기됐다. 협상은 27일부터 시작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스 정부와 유럽집행위원회(EC), 유럽중앙은행(ECB), 국제통화기금(IMF) 대표단은 협상장소를 어디로 할지 합의하지 못해 3차 구제금융 협상 개시일을 미뤘다고 가디언 등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에 따라 24일 시작할 예정이었던 860억 유로(약 109조8천억원) 상당의 구제금융 협상이 최소 사흘 연기됐다.

그리스 정부 관계자들은 대표단이 주말 새 아테네에 도착하며 협상은 27일부터 재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종전까지 채권단은 아테네 중심부 신타그마 광장 인근의 아테네 힐튼 호텔에서 머물며 구제금융 협상을 벌여왔다.

하지만, 그리스 정부는 보안상의 이유를 들어 정부청사에서 멀리 떨어진 아테네 외곽 호텔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타그마 광장은 그리스 의회의 1·2차 개혁법안 표결 당시 시민이 모여 대규모 반정부 시위를 벌인 장소다.

EC 관계자는 “해결해야 할 보안상의 문제가 있다”며 “여러 가지 방안을 논의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리스 정부와 채권단은 협상 내용을 두고도 갈등을 빚었다.

그리스 측은 채권단이 만날 수 있는 인물과 협상에서 논할 수 있는 주제도 제한할 것을 요구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 등이 보도했다.

채권단이 그리스 각 부처와 자료에 마음대로 접근하는 것이 그리스 정부의 심기를 건드렸을 것이라고 외신들은 분석했다.

이 가운데 그리스 정부는 IMF에 공식적으로 3차 구제금융 협상에 참여해달라고 요청했다.

유클리드 차칼로토스 재무장관은 IMF에 보낸 서한을 통해 “(그리스가) 사회통합 속에 활기차고 지속적인 성장을 이룰 때까지 몇 분기는 지나야 할 것”이라며 “IMF의 지속적인 협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달 29일 정부의 자본통제로 문을 닫았던 아테네 증권 거래소가 약 한 달 만에 다시 문을 연다.

증권거래소 대변인은 거래소 재개장 안을 놓고 ECB에 의견을 물었다며 이르면 27일 재개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그리스 상장 회사에 투자했던 외국인 투자자들은 자금을 회수할 수 있을 전망이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최호정 의장과 함께 가래여울마을 한강변 정비 현장 점검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7일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과 함께 강동구 가래여울마을 한강변 정비 현장을 방문, 진행 중인 정비 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가래여울마을은 상수원 보호구역이자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최근 시민들의 이용이 늘어나면서 자연과 인간이 조화를 이루는 안전한 이용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박 의원은 작년부터 여러 차례 현장을 찾아 시민 불편 사항을 청취하고 개선책 마련에 힘써왔다. 박 의원은 “가래여울마을 한강변은 강동구의 소중한 자연환경 자산으로, 시민들의 안전하고 쾌적한 이용과 생태환경 보전이 균형을 이뤄야 한다”라며 “최호정 의장님과 함께 현장을 직접 살펴보고, 자연과 사람이 공존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들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현장 점검에는 미래한강본부 관계자들도 함께 참여해, 한강변 접근성 개선과 안전 강화를 위한 현실적인 대책 마련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을 나눴다. 주민 의견을 중심으로 가래여울 한강변 정비를 위해 힘써온 박 의원은 “강동구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시민들이 안심하고 한강을 누릴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최호정 의장과 함께 가래여울마을 한강변 정비 현장 점검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