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정부, 아베 담화 환영…일본과 밀착 행보

필리핀정부, 아베 담화 환영…일본과 밀착 행보

입력 2015-08-16 11:19
수정 2015-08-16 11: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필리핀 정부가 일본과의 밀월 관계를 과시하고 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기 전후 70년 담화에서 필리핀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에 저지른 만행에 대해 진정한 반성의 뜻을 밝히지 않았는데도 종전 이후 일본의 행보를 호평하는 입장을 내놓은 것이다.

16일 필리핀 언론에 따르면 필리핀 외교부는 아베 총리 담화와 관련, 성명을 통해 20세기 중반 이후 일본은 국제법에 따라 행동하며 아시아와 세계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해왔다고 평가했다.

필리핀 외교부는 “필리핀과 일본의 관계는 많은 분야에서 신뢰와 끊임없는 지원으로 특징지어진다”며 “전후 70년은 끈질긴 노력으로 양국 국민이 과거 문제들을 극복하고 돈독한 우정을 쌓는 데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을 세계에 보여줬다”고 밝혔다.

에르미니오 콜로마 필리핀 대통령궁 대변인은 “자유, 민주주의, 인권의 가치를 견지하며 평화에 기여하겠다는 아베 총리의 담화를 지지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필리핀 정부는 한국이나 중국 정부와 달리 아베 총리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과거사를 제대로 사죄하지 않은 데 대해 아무런 비판도 하지 않았다.

반면 필리핀 위안부 피해자단체인 ‘릴라 필리피나’의 레칠다 엑스트레마두라 사무총장은 “위안부 피해여성들은 정의가 서야 평화롭게 살 수 있다”며 일본의 사죄와 배상을 촉구했다.

필리핀 정부가 2차 대전 당시 적국이던 일본의 과거사 문제를 제기하지 않는 것은 일본이 미국과 함께 자국의 2대 경제·군사 후원국으로 떠올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일본이 정부개발원조(ODA) 방식의 차관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인 약 2천400억 엔(2조 2천600여억 원)을 필리핀 철도사업을 위해 제공하기로 최근 결정하는 등 필리핀의 주요 경제개발사업에 대한 자금줄 역할을 하고 있다.

중국과의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은 필리핀이 일본과 군사공조를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

필리핀은 중국에 맞서 올해 상반기 남중국해 분쟁해역 인근에서 2차례 걸쳐 일본과 해상 군사 합동훈련을 한 데 이어 일본 자위대에 재급유와 물자 조달을 위해 자국 군사기지 이용을 허용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일본은 필리핀에 P3C 초계기와 레이더 장비 지원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일본의 경제·군사적 지원 필요성이 커지면서 필리핀 정부의 친 일본 성향이 짙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