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기준금리 동결 “연준, 경제전망 낙관적” 이유는?

美 기준금리 동결 “연준, 경제전망 낙관적” 이유는?

김유민 기자
김유민 기자
입력 2016-09-22 07:07
업데이트 2016-09-22 08: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美 기준금리 동결
美 기준금리 동결 재닛 옐런(가운데)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이 26일(현지시간) 미국 와이오밍주에서 열린 잭슨홀 미팅 연설에 앞서 스탠리 피셔(오른쪽) 연준 부의장, 윌리엄 더들리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와 함께 산책을 하고 있다.
잭슨홀 AP 연합뉴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연준)는 21일(현지시간) 올해 6번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현 기준금리인 0.25%∼0.50%를 유지하기로 했다.

재닛 옐런 의장을 포함 위원 10명 가운데 7명이 동결, 3명이 인상에 손을 들었다. 지난해 12월 0.25%p 인상한 뒤 올해 들어 열린 6차례 회의 연속 동결이다.

이에 대해 마켓워치는 “연준이 지난해 12월 금리를 인상한 이래 이처럼 경제전망을 낙관적으로 내놓기는 처음”이라고 평가했다.

연준은 “연준의 목표들을 향한 지속적인 진전의 추가 증거를 당분간 기다리기로 결정했다”면서 “비록 실업률이 최근 몇달간 거의 변화가 없지만 고용 상황은 견고하고, 가계소비는 강하게 늘고 있지만 기업들의 고정투자가 약세”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미국 경제가 직면한 단기 위험요인들이 거의 상쇄됐다”며 “연방 기준금리의 인상 여건이 최근 강화됐다”면서 2017∼2018년 예상 금리인상 횟수를 당초 3차례에서 2차례로 낮춰 잡았다. 올해 미 경제 성장률 전망도 기존의 2.0%에서 1.8%로 낮췄다.

연준은 향후 3년간 경제성장 전망도 ‘더딜’ 것으로 전망했다. 옐런 의장은 ‘연준이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뜻대로 움직인다’는 공화당 대선후보 도널드 트럼프의 주장에 대해 “연준은 정치적으로 타협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