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큐, 셀카족

생큐, 셀카족

한준규 기자
입력 2017-03-27 18:14
수정 2017-03-27 18: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사진 잘 나오는 ‘선명한 눈썹’ 선호…전 세계 관련 제품 비율 3%→14%

‘우리는 진한 일자 눈썹을 원한다.’
이미지 확대
전 세계에 ‘셀카’ 열풍이 불면서 진한 눈썹을 원하는 여성이 늘고 있다. 평범한 10~20대 여성은 ‘셀카’로 자신을 보다 예쁘게 표현하고 싶어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셀카용’ 화장품이 틈새시장을 떠오르고 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27일 셀카와 여성 ‘눈썹’ 화장품과의 매출의 연관성을 소개했다.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 여성은 ‘메이크업을 한 상태’에서 셀카를 찍으며 30%는 ‘민낯’ 상태에선 셀카를 전혀 찍지 않았다. 이는 화장과 셀카가 연관성이 높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FT는 독일의 한 화장품회사인 케이에프 뷰티(KF Beauty·이하 KF)를 집중 조명했다. KF는 분더블로우(Wunderblow)란 브랜드의 눈썹을 진하게 정리해주는 화장품으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인기를 누리고 있는 회사다. 마이클 말린스키 KF 최고 경영자는 “전 세계에 예쁘고 멋진 자신의 모습을 남기고 싶은 모든 여성이 우리의 대상”이면서 “앞으로 눈썹 화장품 시장의 잠재력은 무궁무진하다”고 강조했다.

시장조사 업체인 민텔의 첼롯 리비 연구원은 2012년부터 눈썹 화장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고 했다. 리비 연구원은 “눈썹 화장품시장은 유튜브의 메이크업 전문가들과 인스타그램 등에서 전문적인 미용 팁이 알려지면서, 더 중요한 것은 셀카에 대한 여성의 욕구가 강해지면서 성장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눈썹 제품은 지난 5년 동안 전 세계 ‘눈’ 관련 화장품 중 차지하는 비율이 3%에서 14%로 늘었다. 또 미국 시장은 2010년에 1억 6100만 달러에서 2016년에는 4억 7700만 달러로 증가했다. 2020년에는 7억 2400만 달러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KF는 지난해 하루 페이스북 광고에 5만 달러 이상을 쏟아부으면서 공격적인 마케팅에 나섰다. 2015년 2m 눈썹 강화 제품을 내놓으면서 2016년 매출은 8배 이상 뛰었다.

말린스키 경영자는 “여성뿐 아니라 수염이나 구레나룻 등을 멋지게 보이고 싶어하는 남성의 구매도 늘었다”면서 “지난해는 상당한 매출 증가를 이뤘다”고 말했다.



한준규 기자 hihi@seoul.co.kr
2017-03-28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