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가장 흔한 질병 원인된 우울증…10년새 18% 증가

세계에서 가장 흔한 질병 원인된 우울증…10년새 18% 증가

입력 2017-03-31 17:33
업데이트 2017-03-31 17: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WHO “3억명 넘지만 4명 중 3명이 적절한 치료 못 받아”

세계적으로 우울증 환자가 급증, 3억명이 넘어섰으나 대부분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세계보건기구(WHO)가 30일(현지시간) 밝혔다.

WHO는 이날 2015년판 ‘세계질병평가’(GHE)를 펴내면서 우울증에 초점을 맞추고 각국 당국의 관심과 대책을 촉구했다.

WHO에 따르면, 지난 2015년 말 현재 세계 우울증 환자는 3억2천200만명으로 집계됐다.

무엇보다 2005년부터 만 10년 사이에 18% 이상 늘어나는 등 마치 전염병처럼 빠르게 확산되면서 질병과 장애를 일으키는 가장 많은 원인이 됐다.

WHO는 우울증을 “사람들이 보통 즐기는 일상적 활동에 대한 관심의 상실과 지속적인 슬픈 감정이 있고 2주 이상 일상생활을 처리할 능력이 없는 상태가 이어질 경우‘로 정의하고 있다.

우울증은 조기에 적절하게 치료하면 나을 수 있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나 방치할 경우 각종 신체적 질환으로도 이어지면서 심신을 피폐하게 만든다.

우울증은 자살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특히 15~29세 젊은이 사망원인 중 교통사고 다음으로 2위다.

세계적으로 우울증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연간 1조 달러가 넘는 것으로 추계된다.

그러나 우울증을 앓는 사람 4명중 3명은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 소득수준이 높은 나라에서도 50%, 가난한 나라에선 80~90%가 방치되고 있다.

그 배경엔 우울증 등 정신질환에 대한 이해부족, 정신질환자로 오해받고 낙인 찍히기를 두려워하는 풍토, 정부와 사회의 관심 부족 등이 있는 것으로 지적된다.

각국 정부 보건예산 중 정신건강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평균 3%에 불과하다. 이른바 부자나라, 선진국의 경우 그 비중이 5% 안팎이지만 가난한 나라에선 미미하다.

마거릿 챈 WHO 사무총장은 ”모든 나라가 정신건강에 대한 접근 방식을 재고하고 중대하고 시급하게 대책을 마련 시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