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연구진 “수족관 고래들은 모두 치통 환자…65% 상태 심각”

국제 연구진 “수족관 고래들은 모두 치통 환자…65% 상태 심각”

입력 2017-10-13 12:47
수정 2017-10-13 12: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한성 통신원 = 사람들에게 붙잡혀 수족관 등에서 살아가는 범고래들은 사람과 마찬가지로 치통으로 고생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2일 뉴스허브 등 뉴질랜드 언론에 따르면 뉴질랜드 오타고 대학교수 등으로 이루어진 국제 연구진은 미국과 스페인 등지 수족관에서 살아가는 고래 29마리를 조사한 결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100% 모두 이가 손상된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진의 존 젯 미국 스텟슨 대학교수는 “모든 고래의 이가 어떤 형태로든 손상돼 있었다”며 “아랫니 손상 정도를 보면 보통에서 심한 경우가 65% 이상이었다. 대부분 콘크리트나 쇠로 된 탱크 표면을 씹어서 생긴 결과”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특히 조사한 고래들의 61% 이상은 이에 구멍이 뚫려 안에 있던 부드러운 펄프 조직이 제거된 상태였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그러나 고래들이 이에 난 구멍을 메우거나 덮개를 씌우는 게 아니므로 구멍이 나 있는 상태 그대로 살아갈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오타고 대학 캐롤리나 로크 박사는 “이의 펄프 조직이 드러날 만큼 닳게 되면 감염과 질병의 통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진의 제프 벤터 박사는 이에 구멍이 나면 매우 약해져 부러지기도 쉽다며 “이 손상이 사람들에게 잡혀서 사는 고래들의 가장 큰 비극으로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고 만성적인 항생제 요법으로 고래의 면역체계를 해칠 위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두 번째와 세 번째 아랫니의 60% 이상이 부러져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는 이에 생긴 구멍 때문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말했다.

벤터 박사는 자신이 고래 조련사로 있을 때 고래들이 턱으로 철문을 때리다 이를 부러뜨리는 경우를 직접 목격한 바 있다고 말했다.

연구진의 일원으로 지난 30년 동안 야생 고래를 연구해온 뉴질랜드 고래 전문가 잉그리드 비서 박사는 “사람들이 고래를 수족관에 가두는 게 고래에게 몹시 나쁘다는 걸 알고 있다”며 “이번 연구는 고래의 건강과 복지가 어떻게 손상될 수 있는지 잘 보여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고래 이의 뿌리가 얼마나 크고 신경체계가 사람들과 비슷하다는 사실을 고려한다면 이 손상으로 받는 고통은 엄청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갇힌 고래들의 이가 야생의 고래들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이 손상돼 있다며 “야생에서는 이런 정도로 이가 손상된 것을 볼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이들의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아카이브즈 오브 오럴 바이올로지’에도 소개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