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 내서 읽으면 읽은 내용이 더 잘 기억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25일 헬스데이 뉴스에 따르면 캐나다 워털루대학의 콜린 매클라우드 심리학 교수 연구팀은 95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들에게 글로 쓰인 정보를 소리 없이 읽기, 남이 읽어주는 것을 듣기, 자신이 읽어 녹음된 것을 듣기, 직접 소리 내어 읽기 등 4가지 방법을 통해 내용을 기억하게 하고 얼마나 잘 기억하는지를 테스트했다.
결과는 스스로 소리 내어 읽는 것이 기억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매클라우드 교수는 밝혔다.
매클라우드 교수는 “학습과 기억은 스스로의 적극적인 개입이 있어야 효과적으로 이뤄진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것”이라며 “어떤 단어에 행동적 요소가 가해지면 장기기억에 보다 뚜렷이 저장돼 기억도 잘 된다”고 설명했다.
매클라우드 교수는 앞서 글을 쓰거나 타이핑하는 것이 그 글에 대한 기억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일이 있다. 이 연구결과는 과학전문지 ‘기억’(Memory) 최신호에 발표됐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연구팀은 이들에게 글로 쓰인 정보를 소리 없이 읽기, 남이 읽어주는 것을 듣기, 자신이 읽어 녹음된 것을 듣기, 직접 소리 내어 읽기 등 4가지 방법을 통해 내용을 기억하게 하고 얼마나 잘 기억하는지를 테스트했다.
결과는 스스로 소리 내어 읽는 것이 기억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매클라우드 교수는 밝혔다.
매클라우드 교수는 “학습과 기억은 스스로의 적극적인 개입이 있어야 효과적으로 이뤄진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것”이라며 “어떤 단어에 행동적 요소가 가해지면 장기기억에 보다 뚜렷이 저장돼 기억도 잘 된다”고 설명했다.
매클라우드 교수는 앞서 글을 쓰거나 타이핑하는 것이 그 글에 대한 기억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일이 있다. 이 연구결과는 과학전문지 ‘기억’(Memory) 최신호에 발표됐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