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P가 뽑은 2017년 가장 별난 일은…생방송 인터뷰중 ‘꼬마 난입’

WP가 뽑은 2017년 가장 별난 일은…생방송 인터뷰중 ‘꼬마 난입’

신성은 기자
입력 2017-12-31 15:45
수정 2017-12-31 15: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7억원에 팔린 아인슈타인 쪽지, 부르카 닮은 노르웨이 버스 사진도

로버트 켈리 교수가 지난 10일 영국 BBC와 화상 인터뷰를 진행하던 도중 두 아이가 난입(?)하자 부인이자 아이들의 어머니인 김정아씨가 황급히 아이들을 데리고 나가고 있다. BBC 홈페이지 갈무리
로버트 켈리 교수가 지난 10일 영국 BBC와 화상 인터뷰를 진행하던 도중 두 아이가 난입(?)하자 부인이자 아이들의 어머니인 김정아씨가 황급히 아이들을 데리고 나가고 있다.
BBC 홈페이지 갈무리
전 세계에서 사건 사고가 유난히 많았던 2017년을 단 하루 남겨둔 3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포스트(WP)가 올해의 별난(bizarre) 지구촌 소식을 뽑아 정리했다.

WP는 가장 먼저 올해 3월 한국에서 일어난 ‘꼬마 난입’ BBC 방송사고를 꼽았다.

3월 10일 로버트 켈리 부산대 교수가 화상 연결을 통해 한국의 국정농단 사태에 대해 생방송 인터뷰를 하는 도중 네 살 딸 매리언과 8개월 아들 제임스가 뉴스 화면의 ‘씬스틸러’가 된 사건이다.

당시 매리언은 켈리 교수가 인터뷰를 하고 있던 방문을 열고 들어오더니 흥겹게 어깨춤을 췄고 뒤이어 제임스가 보행기를 탄 채 따라왔다.

아내 김정아 씨가 황급히 아이들을 제지하며 데리고 나갔지만 전 세계 시청자가 모든 장면을 실시간으로 지켜보고 난 뒤였다.

켈리 교수는 방송 직후 BBC에 사과 편지를 보냈으나 BBC는 오히려 인터뷰 영상을 온라인에 게재해 시청자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았고, 매리언은 일약 스타로 떠올랐다.

두 번째로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95년 전 일본인 배달원에게 건넨 ‘행복이론 쪽지’가 지난 10월 경매에서 156만 달러(약 17억5천만 원)에 낙찰된 일이 선정됐다

아인슈타인은 1922년 순회강연을 위해 방문한 일본 도쿄 임피리얼 호텔에서 전보를 전하러 온 일본 배달원에게 팁 대신 쪽지 두 개를 건넸다.

쪽지에는 각각 “조용하고 소박한 삶은 끊임없는 불안에 묶인 성공을 좇는 것보다 더 많은 기쁨을 가져다준다”와 “뜻이 있는 곳에 길이 있을 것이다”라고 적혀있었다.

당시 아인슈타인은 자신의 유명세를 인식해 “아마도 운이 좋다면 이 메모는 평범한 팁보다 그 가치가 훨씬 클 것”이라고 말했는데 그의 말이 사실이었음이 증명됐다.

지난 여름 노르웨이를 뜨겁게 달군 한 장의 사진도 소개됐다.

지난 8월 노르웨이의 요한 슬라타비크는 텅 빈 버스 좌석을 촬영한 사진을 인터넷에서 찾아 반(反)이민자 단체 ‘조국 우선주의(Fatherland First)’의 페이스북 페이지에 게시했다.

이 사진은 언뜻 보기에 어두운색 부르카(얼굴까지 가리는 이슬람권 여성 복식)를 착용한 사람들이 단체로 버스에 앉아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여기에 ‘낚인’ 사람들이 줄줄이 악성 댓글을 달며 논란이 됐다.

조국 우선주의 회원들은 실재하지도 않는 ‘부르카 버스 승객’을 두고 “(부르카) 안에 폭탄이나 무기를 숨기고 있을까 무섭다”, “테러리스트일지도 모른다”, “이슬람은 지금까지 그랬고 앞으로도 항상 저주를 받을 것”이라고 비아냥대다 망신을 당했다.

WP는 이 밖에도 프랑스가 테러집단의 드론 공격 등을 막기 위해 독수리 등 맹금류를 훈련시키고 있다는 소식과 러시아 정부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게이 광대’로 묘사한 이미지에 금지령을 내린 것도 올해의 별난 일로 꼽았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