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힐 권리’ 240만 삭제요청에 구글 “역사수정은 안돼”

‘잊힐 권리’ 240만 삭제요청에 구글 “역사수정은 안돼”

신성은 기자
입력 2018-02-28 11:41
수정 2018-02-28 11: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범죄전력 영국 기업인, 구글 상대 소송…삭제요청중 43%만 수용

온라인상의 ‘잊힐 권리’를 권리를 놓고 영국 법원에서 처음으로 격돌이 벌어지고 있다.

영국의 한 기업인이 구글 측을 상대로 자신의 과거 범죄 기록이 검색되지 않도록 해 달라고 요구하면서 양측 간 치열한 소송전이 전개되고 있다고 가디언과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영국 언론들이 28일 보도했다.

소송을 낸 기업인은 1990년대 말 허위 장부를 꾸민 혐의로 유죄판결을 받았으며, 재생의 기회를 줘야 한다고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이 기업인의 변호인인 휴 톰린슨은 27일 고등법원 심리에서 자신의 고객이 구글에서 검색되는 내용들로 고통을 겪고 있으며 속상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유럽연합(EU) 최고 재판소인 유럽사법재판소(ECJ)가 2014년 구글 검색결과에 나오는 개인정보 삭제 권리를 인정하는 판결을 내린 뒤 3년 간 구글에 대한 삭제 요구도 240만 건이나 될 정도로 크게 늘고 있다.

하지만 구글 측은 관련 정보 접근에 따른 대중의 이익이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능가한다는 판단이 들면 삭제 요구를 거부할 수 있어, 이들 삭제 요구 중 43%만 수용했다.

기업인 측 주장에 대해 구글 측 변호인인 앤서니 화이트는 ‘잊힐 권리’에 대한 판결은 “역사를 새로 쓰거나 소송 제기자 희망대로 그의 과거를 재단할 수 있는 권리에 관한 것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화이트 변호인은 해당 기업인을 유죄로 이끈 위법 행위는 중대하고 일관된 것이었다며 그것은 기만적이고 오도하는 범죄 행위를 포함했기 때문에 관련 당국이 개입했고 의회에서도 비난을 받은 일이 있다고 지적했다.

화이트 변호인은 또 해당 기업인이 소셜미디어나 블로그 포스트, 자신의 사업을 소개하는 블로그 등에서 화려한 경력을 소개하며 “존경받는 기업인”으로 묘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런 상황에서 ‘잊힐 권리’마저 부여된다면 그는 계속해서 사람들을 오도하게 될 것이라는 게 화이트 변호인의 주장이다.

이에 대해 기업인 측 변호인인 톰린슨은 자신의 고객이 공인도 아니고 상업상 대출과 부동산 개발 자금 모금으로 생계를 꾸리는 사람이라고 소개했다.

톰린슨은 “요즘은 사람들이 새로운 사람을 만나기 전에 우선 관련자의 정보를 얻기 위해 구글 검색을 한다”며 젊은 때 혹은 과거의 잘못 때문에 영원히 부정적인 이미지를 주게 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반박했다.

톰린슨은 또 유죄는 이제 효력이 없어졌다며 법은 범죄자가 재생해 정상 생활에 복귀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고 주장했다.

이번 재판은 5일간 지속할 예정인데 범죄 전력자들이나 구글에서 자신의 이야기가 삭제되기를 원하는 사람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대문구청장 ‘찾아가는 현장민원실’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1일 이성헌 서대문구청장의 ‘찾아가는 현장민원실’에 참석, 북가좌1동과 북가좌2동 주민들의 목소리를 경청했다고 밝혔다. 행사는 오후 2시 북가좌1동을 시작으로 오후 3시 30분 북가좌2동에서 이어졌다. 김 의원은 주민들에게 큰절로 인사를 건네 박수를 받았으며, 특히 김 의원의 거주지인 북가좌1동에서는 더욱 열렬한 박수를 받아 눈시울을 붉혔다. 김 의원은 현장에서 “뉴타운과 올드타운의 민원 차이를 실감했다”라며 “하루빨리 지역이 개발되어 삶의 질이 향상되기를 바라며, 개발 시 소외되는 계층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북가좌1동에서는 북가좌초등학교, 가재울중·고등학교 주변 전동 킥보드 정리, 재건축 6구역 진행 상황, 저층 주거지 내 어르신 쉼터 조성, 수색로 맨발길과 반려견 산책로 환경정리, 교통 복지 관련 관내 셔틀버스 운행, 불광천 산책로 은평·마포구간 비교, 쓰레기 적환 시설, 수색로변 의자 설치와 조명 개선, 중앙공원 어린이 물놀이터 탈의실, 6구역 내 음식물 쓰레기 처리 등 다양한 민원이 제기됐다. 북가좌2동에서는 강북횡단선 북가좌동 정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대문구청장 ‘찾아가는 현장민원실’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