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자동차업체 포드에 “차량을 미국 내에서 생산하라”고 강하게 압박하자 포드는 “수익성이 떨어진다”며 일축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자국 내 일자리 창출을 통해 지지층의 표를 다지려는 행보로 해석되지만 포드는 이에 대해 난색을 표한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서울신문 DB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서울신문 DB
트럼프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트위터 계정에 “포드가 돌연 중국에서 만든 소형 차량의 미국 판매계획을 없앴다”고 CNBC를 인용해 전했다. 그는 이어 “이는 시작일 뿐이다. 이 차는 이제 미국에서 제조될 수 있고 포드는 관세를 내지 않을 것!”이라는 글을 올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면서 “미국이 중국에 차를 팔면 25% 세금이 있고 중국이 미국에 차를 팔면 2% 세금이 있다”며 “누구든 그게 공정하다고 생각하나? 미국이 다른 나라에 의해 바가지 쓰는 시절은 끝났다!”고 썼다. 지난달 31일 포드가 미·중 무역전쟁 여파로 중국에서 자체 생산한 크로스오버 ‘포커스 액티브’의 미국 내 판매계획을 중단한다고 발표한 것을 지칭한 것이다.
그러나 포드는 즉각 성명을 내 “이 차종을 미국에서 생산할 계획은 없다”고 거부 의사를 분명히 했다고 CNN 등이 보도했다. 포드는 “예상 연간 판매량이 5만대도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포커스 액티브를 미국에서 만드는 것은 수익성이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포드는 트럭,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하이브리드, 전기차 등의 미국 생산을 확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애플에 미국 내 생산을 압박했다. 그는 8일 트윗에서 애플이 대중국 관세 때문에 제품 가격을 올려야 할 수 있으나 관세를 내지 않을 쉬운 해결책이 있다며 “중국 대신 미국에서 제품을 만들어라. 지금 새 공장을 짓기 시작하라”고 촉구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