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 수확량 줄어 주요국 맥주 소비 3분의 1 가량 줄 듯”
향후 수십년간 기후변화로 인해 맥주 가격이 2~5배로 폭등하면서 맥주 한 잔 마시는 것도 사치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폭염과 가뭄이 이어지면서 맥주 주원료인 보리 수확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신문 DB
독일 뮌헨에서 매년 가을 열리는 맥주축제 ‘옥토버페스트’
서울신문 DB
서울신문 DB
연구진은 영국에서도 맥주 소비가 25%, 미국에서는 최고 20%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맥주를 소비하는 중국은 9% 줄고 지구촌 전체로는 16%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연구진은 기후변화를 막으려는 노력이 성공해 온실가스 배출량이 급감하더라도 아일랜드, 벨기에, 체코 등의 맥주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9∼13% 감소하고 캐나다와 독일에서도 비슷한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맥주 가격도 기후변화를 막지 못하면 폴란드의 맥주 가격이 현재보다 5배 뛰고 아일랜드와 벨기에, 체코에서는 현재 가격의 2배로 오를 전망이다.
특히 이들 국가에 큰 타격이 예상되는 것은 맥주의 주요 생산국이면서 자체 소비량도 많고 또 원료인 보리를 대부분 수입하기 때문이라고 가디언은 지적했다.
전 세계 보리 생산량의 17% 정도만 맥주의 원료로 사용되고 나머지는 대부분 가축 사료로 쓰이지만, 기상이변으로 보리 수확량이 줄면 맥주 제조보다는 굶주린 가축을 먹이는 게 우선순위가 될 것이라는 점이다.
연구에 참여한 스티븐 데이비스 어바인 캘리포니아대학(UC 어바인) 교수는 “장래 기후와 이로 인한 가격책정 여건에 따라 전 세계 수억 명이 맥주를 즐길 수 없게 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