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크루즈선 사망자 발열 1주일 검사없이 ‘객실 방치’ 논란

日크루즈선 사망자 발열 1주일 검사없이 ‘객실 방치’ 논란

강경민 기자
입력 2020-02-21 09:56
수정 2020-02-21 09: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격리 생활이 건강 부담 가중했을 가능성…일본 감염자 728명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확진자가 대량 발생한 채 일본 요코하마항에 정박 중인 대형 크루즈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 2020.2.11  로이터 연합뉴스
코로나19 확진자가 대량 발생한 채 일본 요코하마항에 정박 중인 대형 크루즈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 2020.2.11
로이터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걸린 후 사망한 일본 정박 크루즈선 승객이 발열 증상을 보인 후 1주일간 바이러스 검사 없이 배에 머문 것으로 알려져 당국의 대응이 적절했는지 논란이 일고 있다.

21일 요미우리(讀賣)신문의 보도에 의하면 코로나21에 감염된 후 전날 사망한 일본인 여성(만 84세, 도쿄 거주)은 요코하마(橫浜)항에 정박 중인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에 탑승 중이던 이달 5일 발열 증상이 시작됐으나 배에서 내려 의료기관에 입원한 것은 12일이었다.

이 여성이 바이러스 검사를 받은 것도 하선 당일인 12일이었다.

감염을 의심할 증상이 나타나고 일주일이 지나서야 본격적인 의료 서비스를 받은 셈이다.

그는 검사 다음 날인 13일 코로나21 양성 판정을 받았으며 14일부터는 호흡 상태가 악화해 산소마스크를 사용했으나 증상이 개선하지 않았고 20일 숨을 거두었다.

후생노동성 간부는 이 여성이 발열 증상을 보이고도 배에서 내리는데 1주일이나 걸린 이유에 관해 “현시점에서는 정보가 없다”는 답변을 하는 데 그쳤다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당국은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탑승자를 상대로 바이러스 검사를 시행해 양성인 경우 배에서 내리도록 해 의료기관으로 이송했으나 사망한 여성은 하선 당일에서야 검사를 받았다.

이 여성이 발열 다음 날인 6일 설사로 인해 선내 의사에게 진찰을 받았다.

현재까지 드러난 내용에 비춰보면 고령 탑승자를 객실에 격리한 상태로 방치하다시피 한 것이 증상을 악화 시켜 죽음에 이르게 했을 것이라는 의구심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역시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승객이던 일본인 남성(만87세, 가나가와현 거주)도 20일 사망했는데 이 남성은 이전부터 기관지천식을 앓고 있었다.

그는 6일 정도 객실 격리 생활을 거쳐 11일 하선해 입원했다.

지병을 앓고 있던 좁은 공간에서 생활하는 동안 신체적 부담이 가중한 가운데 코로나19까지 감염돼 결국 목숨을 잃은 것으로 보인다.

사가라 히로노리(相良博典) 쇼와(昭和)대 교수(호흡기·알레르기 내과)는 “일반적으로 호흡기 질환자는 악화를 막기 위해 약을 계속 쓰는 것이 중요하다. 약이 부족할 위험을 생각하더라도 가능한 한 빨리 하선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일본에서 확인된 코로나19 감염자는 20일까지 728명으로 늘었다.

감염자는 다이아몬드 프린세스에 탑승한 승객·승무원 634명, 일본 내에서 감염된 것으로 의심되는 이들 63명, 전세기를 타고 일본으로 돌아온 이들이 14명, 중국에서 온 여행객 12명, 검역관 및 정부·지방자치단체 직원 5명의 분포를 보였다.

이 가운데 일본에서 사망한 것으로 확인된 이들은 3명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