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홍콩 자치훼손 中관리 비자 제한에… 中 ‘발끈’

美, 홍콩 자치훼손 中관리 비자 제한에… 中 ‘발끈’

김규환 기자
입력 2020-06-28 18:16
수정 2020-06-29 06: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폼페이오 “처벌하겠단 약속 지키는 것”…中 “내정간섭 중단 않으면 반드시 반격”

이미지 확대
톈안먼 시위 희생자 추모 집회 하는 홍콩 시민들
톈안먼 시위 희생자 추모 집회 하는 홍콩 시민들 지난 4일 저녁 홍콩의 빅토리아 공원에서 홍콩 시민들의 중국의 6.4 톈안먼 민주화 시위 31주년 추모 집회를 하고 있다. 2020.6.5 연합뉴스
미국이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과 관련해 중국 관리들을 상대로 비자 제한 등 제재를 가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 중국이 “내정 간섭을 즉각 중단하라”며 강력히 반발했다.

중국 외교부 홍콩 주재 특파원 공서(公署)는 27일 성명을 통해 “홍콩은 중국의 홍콩이고 홍콩 사안은 순수히 중국 내정에 속한다”며 “미국은 중국 내정 간섭을 즉각 중단해야 하며 그러지 않으면 중국은 반드시 강력히 반격하겠다”고 으름장을 놨다. 그러면서 “홍콩보안법은 일국양제(한 국가 두 체제) 방침을 유지하고 개선하기 위해 마련된 중요한 조치”라고 주장했다. 주미 중국대사관도 이날 성명에서 “중국은 미국의 잘못된 조치를 단호히 반대한다”고 비판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앞서 26일 성명을 통해 “홍콩의 높은 자치권 훼손 혹은 홍콩의 인권 및 근본적 자유 훼손에 책임이 있거나 연루된 전·현직 중국 관료들에 대해 비자를 제한하겠다”며 “이들 인사의 가족 구성원도 제한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폼페이오 장관은 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홍콩의 자유를 제거하는 일에 책임이 있는 중국 공산당 관료들을 처벌하겠다고 약속했다”며 “오늘 이를 위한 행동을 취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누가 제재 대상인지, 얼마나 포함됐는지, 적용 시점 등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미국의 비자 제한 조치가 홍콩보안법 제정을 앞둔 중국을 겨냥한 ‘경고 메시지’라는 해석이 나온다.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회는 28~30일 회의를 열고 홍콩보안법을 심의한 뒤 확정·통과시킬 전망이다.

또 코로나19 확산으로 미국이 중국발 입국을 불허하고 있는 만큼 상징적 조치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20-06-29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