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4일 미국 뉴욕 브루클린의 제이크루 매장. 제이크루는 코로나19 여파로 파산보호를 신청했다. AFP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지난 5월 4일 미국 뉴욕 브루클린의 제이크루 매장. 제이크루는 코로나19 여파로 파산보호를 신청했다. AFP
코로나19로 미국 뉴욕과 같은 밀집 생활권이 취약성을 드러냄에 따라 공동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일각에서는 소위 ‘도시의 종말’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지만, 일시적인 현상으로 도심의 손바뀜이 일어나고 있을 뿐이라고 분석도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18일(현지시간) “지난달 뉴욕시 전역에서 임대용 아파트 6만 7300채가 시장에 공급됐는데, 이는 2010년 이후 가장 많이 공급된 것”이라고 부동산 웹사이트인 스트리트이지를 인용해 전했다. 6~7월을 합하면 무려 12만채가 넘는 임대용 아파트가 공급된 것으로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26% 늘어난 것이라고도 했다.
NYT는 이어 “맨해튼의 사무실도 대부분 비었고, 많은 소매점이 문을 닫거나 폐업했다”며 “여전히 세계에서 임대료는 가장 높지만, 지난달 임대료 중간값은 3167달러(약 375만원)로 지난해 7월보다 약 10% 내렸다”고 보도했다. 맨해튼의 지난달 사무실 공실률도 4.3%로 14년 만에 가장 높았다.
코로나19로 밀접 생활권를 기피하는 경향이 생긴데다가 연방정부가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지급하던 600달러 상당의 부양자금이 지난달 만료되면서 월세를 지불하지 못하는 세입자도 늘었다. 대형은행이나 증권사들은 맨해튼에 거대한 건물을 꼭 소유해야 하는지 고민에 빠졌고, 대형 건물이 빌 경우 주위의 상권 역시 망가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재택근무가 일반화되면서 도시의 기능이 크게 축소될 것이라는 이른 분석도 나온다.
하지만 코로나19가 가져온 산업 구조의 변화로 맨해튼을 차지하는 업종이 달라질 뿐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 “아마존이 뉴욕, 피닉스, 샌디에이고, 덴버, 디트로이트, 댈러스 등에 약 2만 5000평의 사무공간을 추가 확보하고 3500개의 일자리를 늘릴 계획을 갖고 있다”며 “아마존 경영진은 결국 직원 상당수가 사무실로 돌아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이미 아마존은 뉴욕 5번가의 로드앤테일러 백화점 빌딩을 약 10억 달러(약 1조 1800억원)에 인수했다.
워싱턴 이경주 특파원 kdlrudw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