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니 애벗 호주 전 총리
EPA 연합뉴스
1일(현지시간)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애벗 전 총리는 영국 런던의 싱크탱크 ‘폴리시 익스체인지’ 초청연설에서 코로나19 봉쇄 조치에 따른 경제적 비용을 고려하지 않는 호주 정책을 ‘보건 독재’라고 비난하며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빅토리아주에서 내린 통행 금지령을 예로 들며 주 정부가 550만 멜버른 주민을 ‘가택 연금’ 시키고 있다고 비난했다.
애벗 전 총리는 또 호주 정부의 대응 방침이 코로나19가 의료 체계의 수용 능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쪽에서 어떤 비용과 희생을 치르더라도 모든 생명을 살리는 방향으로 옮겨졌다고 비판했다.
그는 정부가 노인 1명의 수명을 1년 더 늘리는 데 무려 20만 호주 달러(약 1억 7000만원)가 든다면서 통상적으로 정부가 주요 치료제에 지불하는 금액보다 훨씬 더 많은 액수라고 지적했다.
애벗 전 총리는 “우리가 공존해야 할 죽음의 수준에 대해 불편한 질문을 던지는 보건 경제학자들처럼 생각하는 정치인들이 많지 않다”며 코로나19 대응 조치가 균형 잡힌 것인지 질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중단과 재개를 반복하는 경제 상황뿐만 아니라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호주 젊은이들이 무기력증에 빠지는 점도 큰 문제라고 주장했다.
그는 청년들 사이에 스스로 일자리를 구하기보다 정부의 무료 지원을 받겠다는 식의 사고방식이 팽배하다고 말했다.
애벗 전 총리는 “전체 노동인구의 40%에 정부 지원을 유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면서 정부는 “2차 세계대전 이래 전례 없는 적자가 쌓이고 있고, 바이러스 자체보다 그로 인한 대응에서 파생되는 경제 위기에 놓여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애벗 전 총리는 최근 불거진 영국 무역특보 임명 가능성에 대해 “아직 공식적이지 않다”고 말을 아꼈다. 가디언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 애벗 전 총리의 이날 발언으로 그를 후보에 올린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의 정치적 부담이 커졌다고 꼬집었다.
이보희 기자 boh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