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 피로감에 반기 드는 시민들… ‘코로나와의 전쟁‘ 병원서 거리로

방역 피로감에 반기 드는 시민들… ‘코로나와의 전쟁‘ 병원서 거리로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20-09-06 20:46
수정 2020-09-07 06: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출국금지 연장’ 호주 시위대 경찰과 충돌
伊·스코틀랜드선 반마스크·음모론 제기
극우 정당 시위 주도… “개인 자유 불가침”

이미지 확대
“공포가 아닌 사실을”
“공포가 아닌 사실을” 5일(현지시간) 스코틀랜드에서 벌어진 코로나19 봉쇄령 반대 시위. 2020.9.6
AP 연합뉴스
전 세계 코로나19 확산세와 더불어 정부 방역 정책에 대해 ‘반기’를 드는 움직임도 더욱 거세지고 있다. 개인의 자유를 강조하는 극우세력이 주도하는 이 같은 모습에 ‘바이러스와의 전쟁’이 거리로 번지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BBC는 5일(현지시간) 호주 멜버른과 시드니, 브리즈번 등에서 수백명이 참석한 ‘반봉쇄령’ 시위가 벌어졌다고 이날 보도했다. 특히 7월 초부터 봉쇄령이 내려진 멜버른에서는 시위 도중 경찰관을 폭행한 1명을 포함해 15명이 체포되기도 했다. 호주는 지난 7월 2일 코로나19 누적 확진자가 8000명을 넘어선 가운데 두 달 사이 2만 6000명 이상으로 3배 이상 늘어난 상황이다. 특히 누적 사망자는 같은 기간 104명에서 740명으로 더욱 급증했다. 이에 정부는 이달 중순 종료 예정이던 자국민에 대한 출국 금지 지침을 12월까지 연장하는 등 방역의 고삐를 더욱 죄기로 했다. 이번 시위는 정부 방역 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인내심이 한계에 이르렀음을 보여 주는 것이기도 했다.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와 잉글랜드 셰필드, 크로아티아, 스위스 등에서도 이날 마스크 착용에 반대하고, 음모론을 제기하는 시위가 벌어졌다. 에든버러 시위는 스코틀랜드에서 지난 7일간 994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온 가운데 일어났는데, 이 같은 확진 규모는 507명이 확진된 전주 대비 두 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였다. 셰필드 시위에서는 제러미 코빈 전 노동당 대표의 형제이자 기상캐스터 출신 우파 인사인 피어스 코빈이 참여하기도 했다. 그는 이미 정부 방역 지침을 어겨 경찰에 체포된 바 있다.

이탈리아 로마에서도 이날 1000여명이 참여한 ‘반마스크’ 시위가 열렸다. 극우 정당 포르차 누오바와 백신 반대론자들이 주도한 이번 시위에서는 ‘자유여 영원하라’, ‘개인 자유는 불가침’ 등의 현수막이 눈에 띄었다. 이미 코로나19로 재앙급 피해를 본 이탈리아 정부는 이번 시위에 강경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주세페 콘테 총리는 “코로나19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로마에서 시위를 벌였다”며 “그러나 코로나19로 이미 3만 5000명이 넘게 사망했다”고 말했다.

이 같은 ‘반마스크·반봉쇄령’ 시위 확산으로 이제 코로나19 사태가 공권력의 문제가 됐다는 말도 나온다. CNN은 최근 보도에서 “코로나19와의 전쟁이 병원에서 거리로 옮겨왔다”고 전했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20-09-07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