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자튀김을 케첩없이?…코로나로 일회용 케첩 수요 폭발

감자튀김을 케첩없이?…코로나로 일회용 케첩 수요 폭발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21-04-07 18:10
업데이트 2021-04-07 18: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식품 제조업체 크래프트 푸드의 하인즈 케첩. 연합뉴스
미국 식품 제조업체 크래프트 푸드의 하인즈 케첩. 연합뉴스
코로나19 사태로 미국인들이 감자튀김이나 햄버거를 먹을 때 케첩을 포기해야 하는 사태가 생길 수도 있다고 AFP통신이 7일 보도했다.

코로나 대유행으로 미국 대부분 식당이 음식을 배달시키거나 포장해서 가져가는 주문에 의존하면서 일회용 케첩 소비량이 매우 증가했다.

가장 많이 팔리는 케첩인 하인즈 케첩을 제조하는 크래프트 하인즈사의 대표인 스티브 코넬은 “배달과 포장이 폭증하면서 일회용 케첩 수요가 늘었다”고 말했다.

지난해 일회용 비닐 포장에 담긴 케첩은 플라스틱이나 유리병에 담긴 케첩을 대체했다. 하인즈사는 이러한 경향에 맞춰 생산 라인을 이미 교체했음에도 일회용 포장에 담긴 케첩 생산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태다.

하인즈사는 25%나 생산량을 늘려 일 년에 120억 개의 개별 포장 케첩을 생산하고 있다. 또 식당들의 요구에 따라 손을 대지 않고도 케첩이 나오는 용기도 개발 중이다. 지난해 1월 대비 일회 포장 케첩의 가격은 13%나 증가했다.

식당에서는 감자튀김을 케첩 없이 내놓는 대역죄를 피하고자 대안을 찾고 있다. 콜로라도주 덴버에서 식당을 경영하는 한 미국인은 “어떻게 감자튀김을 하인즈 케첩 없이 팔 수 있나요?”라며 걱정하기도 했다. 그는 하인즈 케첩을 다른 상표의 제품으로 바꾸고 나서 손님들에게 사과했다.

코로나19는 화장지, 반도체, 실내 운동기구인 펠로톤 바이크 등의 세계적인 공급 부족을 가져왔다. 세계 무역 물량의 12% 정도가 지나다니는 수에즈 운하가 거대한 컨테이너선에 일주일 동안 가로막힌 것도 커피, 가구 등의 공급 부족 사태를 낳은 바 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