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살인자 푸틴” 푸틴 “수십 번 들은 말”… 첫 회담 앞두고 신경전

바이든 “살인자 푸틴” 푸틴 “수십 번 들은 말”… 첫 회담 앞두고 신경전

홍희경 기자
홍희경 기자
입력 2021-06-13 18:02
업데이트 2021-06-14 06: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문 대통령, G7 정상과 기념촬영
문 대통령, G7 정상과 기념촬영 G7 정상회의 참석차 영국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영국 콘월 카비스베이 양자회담장 앞에서 참가국 정상들과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남아공 시릴 라마포사 대통령, 프랑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영국 보리스 존슨 총리 , 문재인 대통령, 미국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두번째 줄 왼쪽부터 일본 스가 요시히데 총리, 독일 앙겔라 메르켈 총리, 캐나다 쥐스탱 트뤼도 총리, 호주 스콧 모리슨 총리. 세번째 줄 왼쪽부터 UN 안토니우 구테흐스 사무총장, 샤를 미셸 EU 정상회의 상임의장, 이탈리아 마리오 드라기 총리,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 2021.6.13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을 앞두고 양측 신경전이 치열하다. 러시아 야권 지도자인 알렉세이 나발니의 인권 문제, 러시아에 근거지를 둔 해커집단의 미국 공급망 해킹 사건 등 양국 간 갈등 사안이 차고 넘쳐서다. 백악관과 크렘린 간 여론전은 이미 시작된 모습이다.

로이터통신은 12일(현지시간) 백악관이 미러 정상회담 뒤 바이든 대통령의 단독 기자회견을 준비 중이라고 보도했다. 오는 16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미러 정상회담은 주요 7개국(G7) 정상회담을 위해 취임 뒤 첫 유럽순방에 나선 바이든의 마지막 일정이다.

백악관 측은 “(단독 회견이) 자유 언론과 명확하게 소통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형태”라며 양자회담 뒤 두 정상이 나란히 회견장에 서는 관례를 깨는 이유를 설명했다. 사실상 크렘린 출입기자단 취재를 보이콧한 것인데, 이는 푸틴의 권위주의 통치를 비판해 온 기존 입장과 맥락이 같다. 앞서 바이든은 지난 3월 방송 인터뷰에서 ‘푸틴을 살인자라고 믿느냐’란 질문에 “그렇다”고 말한 바 있다.

백악관의 경계심에 대해 크렘린은 무시와 부정 전략으로 응수했다. 푸틴은 미국 N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바이든이 자신을 ‘살인자’라고 칭한 것과 관련해 “재임 중 그런 비난은 수십 번 들었다. 신경 쓰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푸틴은 최근 미국 송유관·육류 공급망 해킹 사건의 배후로 러시아가 지목되는 데 대해선 “아는 바 없다”고 잘라 말했다. 러시아가 이란에 위성 기술을 넘겨줄 준비를 하고 있다는 의혹 보도에 대해서도 “말도 안 되는 쓰레기 가짜뉴스”라고 비난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21-06-14 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