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경찰 “아시아계 증오범죄 4.5배로 급증”… 끝나지 않는 폭력

뉴욕경찰 “아시아계 증오범죄 4.5배로 급증”… 끝나지 않는 폭력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입력 2021-12-13 11:25
수정 2021-12-13 11: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뉴욕서 아시아계 증오범죄 28건에서 129건으로
유대인 등 총 증오범죄 503건으로 2배로 증가
필라델피아서 흑인 여학생 4명이 아시아계 구타
용의자 절반 체포했지만 보석으로 재범 ‘골머리’
지난달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의 한 기차 안에서 흑인 여학생들이 아시아계 여학생을 구타하는 장면(흐릿하게 수정했음). 트위터 캡쳐
지난달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의 한 기차 안에서 흑인 여학생들이 아시아계 여학생을 구타하는 장면(흐릿하게 수정했음). 트위터 캡쳐
미국 뉴욕에서 올해 들어 아시아계 증오범죄가 지난해보다 4배 이상으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발생한 아시아계 증오범죄 증가 경향이 각종 대책 마련에도 올해로 이어진 것이다.

NBC방송은 11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아시아계를 향한 증오범죄가 지난해 28건에서 올해 129건으로 360.7% 늘었다”고 전했다. 이는 1월 1일부터 12월 5일까지 발생한 사건을 대상으로 분석한 뉴욕경찰(NYPD)의 발표를 인용한 것이다.

아시아계와 함께 유대인이나 성 소수자 등에 대한 범죄까지 포함하면 올해 뉴욕에서 503건의 증오범죄가 벌어져 지난해 252건과 비교해 약 100% 늘었다. 유대인 증오범죄는 121건에서 183건으로 51.2%가, 성 소수자 증오범죄는 29건에서 85건으로 193.1% 증가했다.

지난해 아시아계 증오범죄 테스크포스(TF)를 만든 뉴욕경찰은 총 503건의 용의자 중에 249명을 체포했다고 밝혔다. TF 내 25명의 경찰이 아시아 각국의 10개 언어를 구사한다. 다만, 이들을 체포해도 보석으로 출소해 다시 같은 유형의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가 발생해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아시아계 증오범죄 증가 원인으로는 코로나19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반중국 발언 등이 꼽힌다. 트럼프가 코로나19를 중국 바이러스, 우한 바이러스 등의 인종차별적 표현으로 부르면서, 아시아계 미국인들에 대한 인종차별적 공격을 부추겼다는 것이다.

실제 퓨리서치센터의 여론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5%가 미국에서 중국인 학생의 학업을 제한하는 방안을 지지한다고 답했다. 로널드 레이건 연구소가 지난 1일 발표한 설문 조사에서도 응답자의 52%가 중국을 ‘미국의 가장 큰 위협 국가’로 꼽은 바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2017년부터 3년간 백인 우월주의 단체 수가 55% 늘어나면서 증오범죄도 증가했다는 남부빈곤법률센터(SPLC)의 자료를 인용해 “정치가 증오범죄에 영향을 줬다”고 보도한 바 있다.

지난해 2월 한 백인 남성이 빵집에 줄을 서 있던 중국계 여성(52)을 밀쳐 넘어뜨렸고, 이 여성이 넘어지며 신문 가판대에 머리를 부딪혀 인근 병원에서 이마를 꿰맨 사건으로 아시아계 혐오범죄는 미국의 사회적 문제로 급부상했다.

지난달에는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의 기차 안에서 흑인 10대 여학생 4명이 인종적 비방과 함께 아시아계 여학생을 구타해 체포됐다고 CNN이 전했다. 경찰은 가해자 중 한 명의 부모가 온라인에 유포된 동영상을 보고 딸을 신고했다고 전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