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이후 출생 中 젊은이, 美에 더 부정적”

“1990년대 이후 출생 中 젊은이, 美에 더 부정적”

강민혜 기자
입력 2022-03-17 12:00
수정 2022-03-17 12: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보도

“트럼프 당선 후 긍정적 생각 상당 감소”
“바이든 효과는 사라질 것” 예측
조 바이든(왼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뉴스1
조 바이든(왼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뉴스1
1990년대 이후 출생한 중국의 젊은이들이 미국에 부정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7일 보도했다.

싱가포르 국립대와 텍사스대 등 학자들이 참여한 연구팀은 미국 대선(2020년 11월 7일) 전후인 지난 2020년 10월과 2021년 1월 두 차례에 걸쳐 중국인 약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이런 결과를 도출했다고 밝혔다.

‘백악관을 신뢰한다’는 항목에 동의한 비율은 1990년대 이후 출생자들이 윗세대인 40∼50대보다 16% 적었다.

‘미국이 외교 정책을 만들 때 중국의 이익을 고려한다’·‘미국이 중국 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끼친다’는 항목에서도 이들 젊은층이 윗세대보다 각각 9·5% 적게 동의했다.

연구팀은 “중국 국내 문제와 비교해 외교에 대한 정보는 훨씬 더 많은 대안적 채널을 통해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여론을 검열하거나 이끄는 것이 더 어렵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트럼프 당선 후 중국인의 미국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은 상당히 감소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에 대한 무역 전쟁과 적대적 레토릭이 미국 내 인종차별에 대한 대규모 저항, 지난해 1월 6일 의회 폭동과 결합하면서 중국 대중이 미중 관계를 재평가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또 조 바이든 대통령의 당선 직후 조사에서는 미중 관계가 악화했다는 응답이 대선 전보다는 다소 줄었지만 바이든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트럼프의 여러 정책을 이어가면서 그러한 ‘바이든 효과’는 사라질 것이라 예측했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강빛초등학교 모듈러 교실 도입 촉구 서명운동 전개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3일부터 4일까지 양일간 강빛초등학교에서 모듈러 교실 도입을 촉구하는 서명운동을 전개했다. 이번 서명운동에는 전주혜 국민의힘 강동갑 당협위원장과 지역 시·구의원, 학부모들이 적극 참여했으며, 현장에서는 과밀학급 해소에 대한 뜨거운 관심과 열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고덕강일2지구는 SH서울주택도시공사가 시행한 대규모 택지개발지구로, 6개 단지 중 5개 단지는 이미 입주를 완료했으며, 마지막 3단지 역시 2027년 입주를 앞두고 있다. 이에 따라 학생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기존 학교 시설만으로는 감당이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로 학생 수는 ▲2024년 875명(33학급)에서 ▲2025년 987명(37학급)으로 증가하며, 학급당 평균 인원은 27.4명에 달한다. 이후 ▲2026년 1124명 ▲2027년 1608명 (3단지 입주시점) ▲2028년에는 1721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과밀학급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전망이다. 현재의 교육시설로는 학생들을 감당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게속되며 서울시교육청과 강동송파교육지원청의 신속한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고덕강일2지구내 2029년 강율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강빛초등학교 모듈러 교실 도입 촉구 서명운동 전개

연구 결과를 담은 ‘트럼프부터 바이든까지 미중 관계에 대한 중국 여론’이라는 제목의 논문은 영국 옥스퍼드대 출판부가 발간하는 ‘중국 국제정치 저널’에 실렸다.
자신의 입맛대로 언론의 성향을 분류해 상반된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유명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공영라디오 NPR과 전화 인터뷰 중 민감한 질문이 나오자 일방적으로 전화를 끊어 비웃음을 사고 있다. 지난해 7월 24일 애리조나주 피닉스에서 열린 보수 성향 단체 터닝 포인트 액션 집회에 참석해 지지자들에게 연설하며 웃는 그의 모습.  AP 자료사진 연합뉴스
자신의 입맛대로 언론의 성향을 분류해 상반된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유명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공영라디오 NPR과 전화 인터뷰 중 민감한 질문이 나오자 일방적으로 전화를 끊어 비웃음을 사고 있다. 지난해 7월 24일 애리조나주 피닉스에서 열린 보수 성향 단체 터닝 포인트 액션 집회에 참석해 지지자들에게 연설하며 웃는 그의 모습.
AP 자료사진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