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S 화면 캡처
러시아가 침공한 우크라이나를 돕기 위해 국제의용군으로 참전한 한국 청년 2명이 지난 28일KBS와의 화상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두 청년은 여권법 위반 혐의를 받고 있고 개인 판단으로 다른 나라의 전쟁에 참가해 논란의 대상이 된 만큼, 본인과 가족의 신상 보호를 위해 복면·선글라스를 착용한 채 카메라 앞에 앉았다.
이달 초 우크라이나에 도착했다는 청년들은 “알려진 것보다 한국인 의용군이 많다”며 “어떤 장교는 40명이라고 했었고, 또 의용군 모집관한테 따로 얘기해봤는데 ‘20명 정도 된다’란 얘기도 들었다”고 밝혔다.
이들은 전쟁의 참혹함을 직접 보고 느꼈다면서, 지난 13일 폴란드 인근 야보리우 훈련소에서 러시아군이 쏜 30발의 미사일에 수십명이 사망했을 때 현장에 있었다고 주장했다.
A씨는 “(미사일 폭발 후) 파편으로 팔 쪽 부근을 맞았었는데, 같은 소대 친구인 폴란드 친구가 업어주면서 ‘정신 차려라’ 하면서 살려줬다”고 당시 긴박했던 상황을 전했다.
B씨는 “히어로 판타지물 그런 것도 아니고, 진짜 팔 날아가고 다리 날아가고 살점 다 태워지고, 정말 비극 그 자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무엇을 상상하든 그 이상으로 참혹하다”며 “한국인들이 우크라이나로 입국하는 건, 저는 안 오셨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국제의용군에 지원하게 된 이유를 묻자 B씨는 “일반 시민들과 어린아이들 죽고 다치는 걸 그냥 마냥 보고 있기만은 힘들어서 지원하게 됐다”며 “진심인 만큼 과도한 비난은 멈춰 달라”고 호소했다.
또 A씨는 “어머니, 아버지 걱정 끼쳐서 죄송하고 무사히 살아서 돌아가겠습니다”라며 한국 가족에게 안부를 전했다.
하지만 ‘빨리 빠져 나오라’는 취재진 권유에 이들은 “전쟁이 끝난 후 귀국하겠다”며 거절했다.
앞서 정부는 전날 지금까지 참전 목적으로 우크라이나에 입국한 한국인은 9명이라고 밝혔다. 그중 3명은 한국에 돌아왔으며 2명은 소재 파악이 되지 않고 있다. 현지 체류 중인 나머지 4명 중 여성 1명은 자원봉사를 하고 있고 3명도 연락을 취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