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타인마이어, 러 푸틴과 친밀관계...“그를 너무 믿어” 오판 인정
젤렌스키 “메르켈 前총리를 부차 학살 현장 초대하고 싶다” 비판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오른쪽) 독일 대통령과 아내 엘케 뷔덴벤더 여사가 29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German Press Ball 2019’에서 춤을 추고 있다. EPA 연합뉴스
13일 AFP통신에 따르면 슈타인마이어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다른 유럽연합(EU) 회원국 정상들과 함께 우크라이나를 방문하겠다는 의사를 전달했지만, 우크라이나 측으로부터 거부됐다고 밝혔다.
폴란드의 수도 바르샤바를 방문 중인 그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유럽이 단결해 우크라이나와의 연대를 보여준다는 차원에서 폴란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등 국가의 대통령들과 함께 이번주 중 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이우를 방문할 예정이었지만 그쪽에서 이를 원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독일 외교장관 출신인 그는 과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친밀한 관계를 맺었던 전력 때문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내외에서 큰 비판을 받았다.
지난주에는 푸틴 대통령에 대한 자신의 인식이 잘못된 것이었음을 인정하기도 했다. 지난 8일 독일 잡지 ‘슈피겔’과 가진 인터뷰에서 그는 “2001년 모스크바에서 처음 푸틴을 만났을 때만 해도 ‘러시아는 독일과 유럽의 편에 서서 자유와 민주주의를 향해 나아가겠다’고 한 푸틴의 메시지를 믿었다”며 “2001년의 푸틴과 2022년의 푸틴은 완전히 다르다”고 말했다.
독일 일간지 빌트는 익명의 우크라이나 외교관이 “슈타인마이어 대통령이 러시아와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 현 시점에서 그는 우크라이나에서 환영 받지 못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모스크바 AP 연합뉴스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독일 대통령(왼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017년 10월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모스크바 AP 연합뉴스
모스크바 AP 연합뉴스
슈타인마이어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노르트스트림2는 분명히 실수였다. 우리는 에너지 분야 협력을 위해 러시아와의 대화를 간절히 원했지만, 푸틴 대통령은 우리의 바람을 나약함의 징후로 해석한 것 같다”고 말했다.
앞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키이우 인근 부차에서 자행된 러시아군의 민간인 학살과 관련해 “메르켈을 학살의 현장으로 초청하고 싶다”며 독일을 향해 독설을 날린 바 있다. 독일의 대 러시아 우호정책에 더해 지난 2월 침공 발발 이후에도 우크라이나 지원에 소극적인 점을 겨냥한 것이다.


우크라이나 키이우 전격 방문한 존슨 영국 총리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9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키예프)를 방문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과 시내를 걷고 있다. 존슨 총리는 러시아와 교전 중인 우크라이나를 전격 방문해 “21세기 들어 가장 위대한 군사적 위업을 이뤘다”고 칭송하고 군사적?경제적 지원을 약속했다. 존슨 총리의 우크라이나 방문은 사전에 공개되지 않은 ‘깜짝 방문’이었다. 2022.4.10 키이우 로이터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