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허용 대가로 협상 기습 제안
서방 “식량 무기 삼아 협박” 규탄
세계 곡물위기 속 공수작전 깜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로 국제 곡물가격이 급등하면서 사료값 상승을 우려하는 축산농가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사진은 축산농가에서 소를 돌보는 모습이다. 사진은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일뿐 기사 내용과 직접 연관된 바 없다. 서울신문 DB
리아노보스티통신 등에 따르면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차관은 25일(현지시간) 곡물을 실은 선박이 우크라이나를 떠날 수 있도록 인도주의 통로를 제공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루덴코 차관은 “(세계) 식량 문제 해결을 위해 러시아의 수출과 금융거래에 가해진 제재 해제를 포함한 종합적인 접근이 있어야 한다”고 거래 조건을 제시했다.
지난 2월 24일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는 이 나라의 수출 거점인 항구도시 마리우폴을 비롯한 흑해 연안을 장악하고 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수출길이 막혀 발이 묶여 있는 곡물이 2500만t에 달한다. ‘유럽의 빵 바구니’로 불리는 우크라이나는 세계 4위의 곡물 수출대국이다. 수출의 90% 이상이 흑해 항구를 통한 해상 경로에 의존하는데, 러시아군의 흑해함대가 포위하고 있는 탓에 창고에 쌓여 있다. 서방과 국제기구가 뾰족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는 상황에서 러시아가 기습 제안을 한 것이다.
24일(현지시간)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 연차총회인 다보스포럼은 러시아의 ‘식량 무기화’를 규탄하는 성토장이 됐다.
데이비드 비즐리 유엔 세계식량계획(WEP) 사무총장은 “43개국 4900만명이 굶주림의 문을 두드리고 있다”고 지적했고,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은 “러시아는 식량과 기근을 이용해 (전 세계를) 협박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우크라이나의 곡물 저장 시설이 포화 상태인 탓에 농민들은 올가을 수확한 곡물을 저장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비즐리 사무총장은 “기근이 1% 증가할 때마다 국경을 넘는 이가 2%씩 증가한다. 식량 위기가 저개발국 국민의 대량 이주와 이로 인한 국제 정세의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2022-05-26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