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노동부는 13일(현지시간) 발표한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보다 7.1% 올랐다. 지난해 12월 이후 최소폭 상승이자, 블룸버그통신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7.3%)마저 하회했다.
아직은 고물가가 지속되고 있지만, 미국 물가상승률이 지난 6월 전년동월대비 9%까지 치솟았고, 이어 7~9월에 8%를 넘었던 것을 감안하면 예상보다 빠른 하락세다. 지난 10월 7.7%와 비교해도 0.6%포인트나 줄었다. 특히 6월 이후 11월까지 5개월 연속 하락세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11월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보다 6.0% 올라 역시 전망치(6.1%)를 하회했다.
주거 비용(7.1%)과 식료품 물가(10.6%)는 전년동월대비 여전히 큰 폭으로 올랐으나, 2.0% 하락한 에너지 가격 하락세가 상당 부분 상쇄했다. 실제 이날 전미자동차협회(AAA)에 따르면 이날 미국 소비자 휘발유 가격은 갤런(3.78L) 3.245달러로 전년 같은 날(3.33달러)보다 낮았다.
블룸버그통신은 11월 물가상승률에 대해 “최악의 인플레이션이 지나갔을 가능성이 높으며,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평가했다.
재닛 옐런 재무장관도 지난 11일(현지시간) CBS방송에 “내년에는 인플레이션이 상당히 내려갈 것”이라며 “예상치 못한 충격이 없다면 내년 연말까지 인플레이션이 훨씬 낮아질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월가는 그간 4차례 연속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단행한 연준이 14일까지 열리는 FOMC에서 ‘빅스텝’(0.5%포인트 인상)을 밟을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워싱턴 이경주 특파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