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P 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AP 연합뉴스
AP 연합뉴스
19일(현지시간) 영국 스카이뉴스는 바딤 스키비츠키 우크라이나 군사정보국 부국장과 독일 일간 빌트 인터뷰를 인용해 이 같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스키비츠키 부국장은 빌트와의 인터뷰에서 “(러시아의) 군사 작전(침공)은 3차례 연기됐는데, 마지막 연기가 2월 중순”이라고 주장했다. 푸틴 대통령의 침공 연기 결정은 세르게이 쇼이구 국방부 장관, 발레리 게라시모프 총참모장 등과 협의한 결과였다고 그는 주장했다.
하지만 푸틴 대통령은 FSB 설득에 밀려 끝내 우크라이나 침공을 강행했다고 스키비츠키 부국장은 말했다. 푸틴 대통령과 군 관리들을 설득, 우크라이나에 군대를 파견하도록 하는데 FSB가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다만 그는 러시아가 원래 계획했던 공격 개시 날짜가 2월 24일이 아닌 언제였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FSB가 무엇을 근거로 푸틴 대통령을 설득했는지도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구소련 비밀정보기관 KGB 출신인 푸틴 대통령이 평소 FSB 정보를 어느 곳의 정보보다 신뢰한 점이 최종 침공 결정에도 영향을 미쳤을 걸로 추정된다.
스키비츠키 부국장은 또 러시아군이 침공을 시작하면서 식량, 탄약, 연료를 사흘 치만 배급받은 점을 들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지나치게 과소평가했다고도 밝혔다.
앞서 뉴욕타임스(NYT)가 입수한 침공 계획에서도 러시아군 부대는 공격 개시 13시간 만에 수도 키이우 외곽까지 진격하라는 명령을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전문가들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결정이 푸틴 대통령과 극소수의 최측근 사이에서 이뤄졌으며, 이를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공략 실패의 주요 원인으로 본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