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팔 추락 여객기 사망자 중 한국인 1명 신원 확인”

“네팔 추락 여객기 사망자 중 한국인 1명 신원 확인”

김민지 기자
김민지 기자
입력 2023-01-16 17:14
수정 2023-01-16 17: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사망자 신원확인 명단에 40대 유모씨 포함
10대 아들 생존여부는 불명

이미지 확대
15일(현지시간) 네팔 카트만두에서 서부 포카라로 향하던 네팔 예티항공 소속 ATR72기가 추락한 네팔 카스키 지구 현장에 구조대원들이 모여 있다. 해당 비행기에는 총 72명이 타고 있었다고 예티항공 측은 발표했다. 2023.1.15 AFP 연합뉴스
15일(현지시간) 네팔 카트만두에서 서부 포카라로 향하던 네팔 예티항공 소속 ATR72기가 추락한 네팔 카스키 지구 현장에 구조대원들이 모여 있다. 해당 비행기에는 총 72명이 타고 있었다고 예티항공 측은 발표했다. 2023.1.15 AFP 연합뉴스
네팔 경찰은 지난 15일(현지시간) 중부 포카라에 추락한 ‘한국인 2명 탑승’ 여객기 사고와 관련해 신원이 확인된 사망자 명단에 한국인 1명이 포함됐다고 밝혔다.

네팔 매체에 따르면 현지 경찰은 이날 오전까지 사고 현장에서 수습된 시신 68구 가운데 26명의 신원을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이 밝힌 사망자 신원 확인 명단에는 한국인 탑승자 40대 유모씨의 이름이 포함됐다.

다만 유씨와 함께 탑승한 10대 아들의 생존 여부는 아직 파악되지 않았다.

네팔 예티항공 소속 ATR72기는 지난 15일 오전 10시 30분 네팔 카트만두에서 출발했다가 도착지 카스키 지역 휴양도시 포카라의 공항 인근 강 부근에 추락했다. 해당 여객기에는 승객 68명과 승무원 4명을 포함해 총 72명이 탑승했다. 정확한 사고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네팔 당국은 헬기와 수백 명의 구조인력을 동원, 산비탈과 협곡 등 추락 지점을 수색했다.

당국은 수색 첫날인 전날 시신 68구를 발견했으며 이날 실종자 4명을 찾기 위해 관련 작업을 재개한 상태였다.

현장에서는 이날 조종사 음성정보와 비행 기록이 저장된 블랙박스도 수거됐다.
이미지 확대
네팔 항공기 추락 사고
네팔 항공기 추락 사고 그래픽 이해영 기자
한편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에베레스트를 포함해 해발 8000ꏭ급 고봉 8곳이 있는 네팔은 외국인 트래커와 등산객 등의 수요로 항공산업이 호황을 누렸지만 잦은 사고가 동반됐다. 까다로운 활주로와 수시로 바뀌는 기상상황, 정확한 일기 예보를 위한 기반시설 부족 등이 잦은 사고의 원인으로 꼽힌다.

특히 이번 사고가 발생한 포카라는 수도 카트만두에서 북서쪽으로 140㎞가량 떨어진 곳에 있는 휴양 도시로, 평소 현지 항공 관계자들 사이에서 이착륙이 까다로운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포카라의 위치가 안나푸르나 등 8000m급 히말라야 고봉에서 불과 수십㎞밖에 떨어지지 않은 고지대라 이착륙 때 여러 높은 산 사이를 곡예하듯 비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네팔에서는 2018년 카트만두에서 방글라데시항공 소속 여객기가 착륙하다 사고를 일으켜 탑승객 71명 가운데 51명이 숨졌다. 지난해 5월에도 네팔 타라에어 소속 소형 여객기가 포카라를 이륙, 20분 거리 무스탕 지역 좀솜으로 향하다 추락했다. 이 사고로 승객과 승무원 등 22명의 탑승자 전원이 사망했다.
이미지 확대
구조대원들이 15일 일요일 네팔 카스키 지구 현장을 수색하는 동안 현지인들이 여객기 잔해를 지켜보고 있다. 2023.01.15 AP연합뉴스
구조대원들이 15일 일요일 네팔 카스키 지구 현장을 수색하는 동안 현지인들이 여객기 잔해를 지켜보고 있다. 2023.01.15 AP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