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키예-시리아 지진 참사 현장서 전해오는 기적의 구조 소식들


7일 시리아 지진 피해 현장에서 탯줄을 달고 있는 상태로 구조된 아기가 알레포 지역 아프린의 병원 인큐베이터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아프린 AP 연합뉴스
시리아 북서부 진데리스에서 무너진 5층 건물을 파내려가던 칼릴 알스와디는 먼지 구덩이에서 탯줄을 단 여자아이를 발견했다. 알스와디는 7일 AFP통신에 “가족들이 살던 건물 잔해를 파다가 아기의 울음소리를 들었다”면서 “어머니의 다리 사이에 있던 아기의 탯줄을 자르고 곧바로 병원으로 이송했다”고 말했다.
신생아를 포크레인 뒤에서 꺼내자 누군가 담요를 던지고 병원으로 후송하는 영상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통해 급격히 퍼졌다. 아기의 어머니는 출산 직후 숨졌고, 아버지와 4명의 다른 자녀들도 모두 지진으로 목숨을 잃어 이 아기는 유일한 생존자가 됐다.


시리아 지진 피해 현장에서 태어난 여자 아이를 지난 7일 급하게 병원으로 옮기고 있다. 아기의 어머니를 비롯한 다른 가족들은 모두 지진으로 목숨을 잃었다. 진데리스 AP 연합뉴스
마루프는 “만약 지진이 일어나기 전에 태어났다면 추위 속에서 많은 시간을 버틸 수 없었을 것”이라며 “한 시간만 더 방치되었더라도 살지 못했을 수 있다”고 기적 같은 상황을 설명했다. 병원에 도착했을 때 아기의 체온은 35도에 지나지 않았다.
산모는 출산 중에는 의식이 있었고 아기를 낳은 직후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 아기는 흙먼지 속에서 몇 시간을 홀로 견딘 것으로 보인다.
신생아의 가족들은 내전 발발 후 시리아 북동부 데이르 에조르 지역이 급진 수니파 무장단체인 이슬람국가(IS)에 점령되자 500㎞ 떨어진 진데리스로 강제 이주됐다. 현재 진데리스는 튀르키예와 시리아 반군이 장악한 곳이다.


시리아 민방위대 ‘화이트 헬멧’이 지진 피해 현장에서 소녀를 구출하며 환호성을 외치고 있다. 트위터 캡처
‘화이트 헬멧’은 트위터에 지난 7일 시리아 이드리브 지역에서 한 가족을 온전히 구조한 영상을 올리며 “진정한 기적이다. 기쁨의 소리가 하늘을 울린다”고 감격해했다. 이들은 소형 전기 드릴로 콘크리트 잔해를 뚫고 아버지와 어린 남매를 차례로 구해냈다. 다친 데 없이 무사하게 구출한 어린 소녀를 하얀 헬멧을 쓴 구조대원이 번쩍 안아서 들어 올리는 순간 구조 현장을 지켜본 이들은 환호성을 질렀다.
튀르키예의 지진 진앙지인 가지안테프에서는 생후 1년 반된 쌍둥이가 40시간 만에 콘크리트 잔해 속에서 구조됐다. 구조대원들은 쌍둥이를 구해내면서 “기적이 온다”라고 외쳤다.
튀르키예 국영 아나돌루 통신은 카라만마라스에서도 44시간 만에 어머니와 두 살 난 딸을 구했다고 전했다. 만삭의 임산부, 80살의 할머니, 15살 소년의 잇단 구조 소식은 비탄에 빠진 튀르키예 국민에게 위안이 됐다.


지진 피해를 돕기 위해 러시아의 구조대와 탐지견이 시리아에 도착해 생존자 수색작업을 펼치고 있다. 자블라 타스 연합뉴스
지진 피해를 돕겠다는 나라가 대한민국을 포함해 65개국에 이르는 가운데 중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구조대가 속속 튀르키예에 도착하고 있다. 지진 생존자 수색 현장에서 뛰어난 후각 능력으로 기적을 만들어내는 개들의 활약상도 새삼 조명받고 있다. 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멕시코와 일본 등에서 구조견을 각각 16마리와 4마리씩 튀르키예에 파견했다. 마르셀로 에브라르드 멕시코 외무장관은 트위터에 구조견의 이름과 사진을 올리면서 “구조대의 ‘심장’이 튀르키예를 향해 날고 있다”고 응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