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조작 감독에 초점..다국적기업들 우려


중국 당국의 데이터 통제로 가장 큰 어려움을 겪은 업체로 평가받는 디디추싱. 서울신문 DB
중국 당국은 데이터통제국이 데이터 조작과 미성년자 인터넷 중독을 방지하기 위한 알고리즘 사용 여부, 사이버 공격에 취약한 데이터 보안 문제 등을 조사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데이터통제국이 정식 설립되면 중국 내 다국적 기업이 산출한 데이터도 관리 감독을 받아야 한다. 이에 따라 중국 내 기업들의 잠재적인 국가 보안 위반 또는 외국 비즈니스 파트너의 데이터도 조사할 수 있게 돼 마찰이 불가피할 것으로 WSJ은 내다봤다.
중국 당국은 오는 13일까지 진행될 전인대에서 데이터통제국의 설립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예정이다. 중국 정치체제 특성상 100% 가까운 찬성률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
앞서 중국 CAC는 2021년 7월 인터넷안보심사방법(규정) 개정을 통해 회원 100만명 이상 인터넷 기업이 미국 등 해외 증시에 상장하려면 국가 안보를 위해를 가하는 요인이 없는지 사전 심사를 받아야 한다고 규정했다. 인구가 14억명에 달하는 중국에서 ‘회원 100만명 이상’은 상장을 검토하는 모든 기업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중국 정보기술(IT)기업의 해외 상장을 사실상 허가제로 바꾼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중국의 대표적 차량호출 서비스 업체 디디추싱은 당국의 해외 증시 상장 자제 신호를 받고도 2021년 6월 미 뉴욕증시 상장을 진행했다가 전례 없는 인터넷 보안 심사를 받고 전방위 규제 대상이 됐다. 90%를 넘었던 중국 내 인터넷 차량 호출 시장 점유율이 60%대로 급락했다. 디디추싱은 상장 1년 만인 지난해 6월 뉴욕증시 상장을 자진 폐지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