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솔로몬 제도의 수도 호니아라 중부의 한 해변에서 아이들이 항만을 배경으로 물놀이를 하고 있다. 호니아라 로이터 뉴스1
23일 호주 ABC방송 등에 따르면 전날 솔로몬제도 정부는 “중국토목공정집단(CCECC)이 수도 호니아라에 있는 호니아라항 재건축 사업을 수주했다”고 밝혔다. 호니아라항의 도로와 부두를 재개발하는 프로젝트다. CCECC는 지난해 도로 사업을 따낸 데 이어 부두 개선 사업권도 얻었다. 남태평양 주도국인 호주는 중국이 호니아라 항을 재건축하면서 군사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 아니냐고 의심한다. 호주를 방문 중인 피아메 나오미 마타아파 사모아 총리도 “호니아라항은 상업용이지만 (중국의 개입으로) 다른 용도로 변질될 우려가 있다”라고 말했다.
호주국립대에서 중국의 태평양 진출 등을 연구하는 피터 코놀리 박사는 ”호니아라항은 솔로몬제도의 경제 발전에 필수적이지만 중국 해군이 이곳을 이용할 수 있는 이중 목적시설이 될 수 있다“며 ”중국은 솔로몬제도와의 안보 협정에 따라 자국 함정을 파견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솔로몬제도 정부는 “이 프로젝트는 오래된 호니아라 국제항을 재건하기 위한 것”이라며 “서방의 우려와 달리 프로젝트가 ‘확장’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부인했다.
지난해 4월 솔로몬제도는 중국과 안보 협정을 맺었다. 이 협정에 따라 중국은 솔로몬제도에 군 병력과 군함을 파견할 수 있고 현지에서 물류 보급도 받을 수 있다. 질서 유지를 위해 무장 경찰도 파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미국과 호주 등은 중국이 솔로몬제도를 군사 기지화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결국 미국은 30년 만인 지난 2월 호니아라에 대사관을 재개설하는 등 중국의 영향력 차단에 애쓰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