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성평등 수준 100위권 밖으로…“정치권력 분배 가장 퇴보”

한국, 성평등 수준 100위권 밖으로…“정치권력 분배 가장 퇴보”

입력 2023-06-21 17:56
수정 2023-06-21 17: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23년 세계 젠더 격차 보고서’
전체 146개 국가 중 105위 기록
지난해 99위에서 6계단 하락
중국 107위, 일본 125위 기록

이미지 확대
서울광장에서 열린 제38회 한국여성대회에서 참가자들이 대회 슬로건인 “성평등을 향해 전진하라”를 외치고 있다. 2023.3.4 연합뉴스
서울광장에서 열린 제38회 한국여성대회에서 참가자들이 대회 슬로건인 “성평등을 향해 전진하라”를 외치고 있다.
2023.3.4 연합뉴스
한국의 성평등 수준이 지난해보다 떨어져 100위권 밖으로 밀려나면서 하위권을 기록했다.

20일(현지시간) 세계경제포럼(WEF)이 내놓은 ‘2023년 세계 젠더 격차 보고서’(Global Gender Gap Report 2023)를 보면 한국의 젠더 격차 지수는 0.680로 전체 146개 국가 중 105위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보다 지수가 0.010 떨어지며 99위에서 6계단 하락한 것이다.

경제 참여, 교육, 건강, 정치적 기회 등 4개 분야를 평가하는 젠더 격차 지수는 1에 가까울수록 양성평등이 잘 이뤄져 있다는 의미다.

한국의 젠더 격차 지수는 2019년 108위, 2020년 102위, 지난해 99위로 수년째 상승했으나 올해 순위는 물론 지수 자체에서도 후퇴를 기록했다.

한국은 올해 경제 참여·기회 부문(0.597)에서 114위, 교육 성취 부문(0.977)에서 104위에 머물렀다. 보건 부문(0.976)은 46위, 정치권력 분배(0.169) 부문에서는 88위였다. 특히 정치권력 분배 중 ‘의회에서 여성 비율’에서 0.304를 기록해 84위에 그쳤다.

WEF는 “피지와 미얀마, 한국 등은 정치권력 분배 문제에서 가장 퇴보한 국가들”이라고 지적했다.
이미지 확대
한국 젠더 격차 지수. WEF 제공
한국 젠더 격차 지수.
WEF 제공
1위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아이슬란드(0.912)가 차지했다. 뒤이어 노르웨이(0.879), 핀란드(0.863), 뉴질랜드(0.856), 스웨덴(0.815) 순으로 북유럽 국가가 최상위권에 다수 포진했다.

영국(16위·0.792), 스페인(18위·0.791), 스위스(21위·0.783), 호주(26위·0.778), 캐나다(0.770) 등도 비교적 상위권에 올랐다.

한국보다 성평등 수준이 낮은 곳은 중국(107위·0.678), 부르키나파소(109위·0.676), 일본(125위·0.647), 인도(127위·0.643), 사우디아라비아(131위·0.637) 등이었다.

성평등 꼴찌는 여성 억압 정책을 펴는 탈레반 정권이 들어선 아프가니스탄(146위·0.405)이었다. 바로 위인 차드(145위·0.570)보다 젠더 격차 지수에서 0.165나 차이를 보였다.

옥재은 서울시의원, 오세훈 시장과 함께 신당9구역 현장방문

서울특별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옥재은 의원(중구2, 국민의힘)은 지난 24일 오세훈 서울시장과 함께 신당9구역 주택재개발사업 현장을 방문해 주민들과 소통하고 현장 여건을 점검했다. 이번 현장방문은 서울시 주택공급 촉진을 위한 제도개선과 공급 속도 제고방안을 발표하는 자리로, 신당9구역을 서울시 ‘규제철폐안 3호’의 첫 적용지로 선정해 사업성을 대폭 개선한 계획을 발표했다. 신당9구역은 약 1만 8651㎡ 규모의 고지대 노후주거지로 20년 넘게 사업이 정체되어 왔으나, 서울시 ‘규제철폐안 3호’ 적용을 통해 종상향에 따른 공공기여율이 기존 10%에서 최대 2% 이하로 대폭 완화돼 실질적인 사업추진 여건이 개선될 전망이다. 아울러 고도지구 최고 높이 기준을 28m→45m로 완화해 층수를 7층에서 15층으로 높이고 사업비 보정계수 등을 통해 용적률이 161%에서 250% 이상으로 대폭 확대되며, 이를 통해 세대수도 315세대에서 5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 단지로 탈바꿈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장에 함께한 옥 의원은 버티공영주차장 옥상정원에서 열린 기자설명회와 주민간담회, 신당9구역 사업대상지 현장점검에 참석해 재개발 방향과 지역 여건을 꼼꼼히 살폈다. 옥 의원은
thumbnail - 옥재은 서울시의원, 오세훈 시장과 함께 신당9구역 현장방문

WEF는 세계 전반의 격차가 1년 새 0.3% 좁혀졌다며 “미온적인 진전”으로 평가했다. 현재와 같은 젠더 격차를 고려할 때 여성이 각종 분야에서 남성과 동일한 기회를 얻는 데까지 131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지지난해 136년, 지난해 132년보다는 소폭 줄어든 것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