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어가는 게 틀림없어”…‘11m’ 산갈치와 수영

“죽어가는 게 틀림없어”…‘11m’ 산갈치와 수영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3-07-17 17:55
수정 2023-07-17 18: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길이 11m ‘초대형 산갈치’
대만서 발견됐다

이미지 확대
대만 앞 바다에서 아파트 4~5층 높이에 달하는 ‘초대형 산갈치’가 포착됐다. 왕청루 SNS 캡처
대만 앞 바다에서 아파트 4~5층 높이에 달하는 ‘초대형 산갈치’가 포착됐다. 왕청루 SNS 캡처
대만 앞 바다에서 아파트 4~5층 높이에 달하는 ‘초대형 산갈치’가 포착됐다.

17일(한국시간) 미국 매체 뉴스위크 등 외신에 따르면 스쿠버다이빙 강사 왕청루씨와 그의 동료들은 대만 신베이시 루이팡구 인근 바다에서 몸길이가 약 11m에 달하는 초대형 산갈치를 발견했다.

이들이 촬영한 영상에는 은빛 비늘을 가진 산갈치가 몸통을 일자로 세운 채 움직이지 않는 장면이 포착됐다.

몸통 한가운데에는 구멍 두 개가 나 있으며, 잠수부들은 산갈치의 거대한 몸집에 놀란 표정을 지었다.

15년간 다이빙을 해왔다는 왕청루씨는 “대만 북동쪽 해안에서는 신기한 물고기가 자주 목격되지만, 거대한 산갈치를 본 것은 처음 있는 일”이라면서도 “지진으로 인해 산갈치가 수면 위로 올라온 것 같지는 않다. 죽어가는 게 틀림없어 보였다”고 주장했다.

다만 왕청루가 산갈치를 만지는 듯한 장면에 일부 네티즌들이 비판 댓글을 남기기도 했다. 한 네티즌은 “심해 생물들은 살짝만 만져도 상처가 생기거나 치명적인 감염으로 이어져 생명에 위태로울 수 있다”면서 “너무 부주의하다”고 비판했다.
이미지 확대
아리카에서 잡힌 산갈치. 나시온
아리카에서 잡힌 산갈치. 나시온
산갈치 잡히면…“대재앙 전조” 공포모양새와 빛깔은 갈치처럼 생겼지만 물고기의 정체는 산갈치다. 이 물고기는 약 650피트∼3300피트(약 198m∼1006m) 깊이의 물에서 살기 때문에 실제로 보는 일은 매우 드둘다.

특히 지난해 칠레 북부 태평양 항구도시 아리카에 어부들은 자그마치 6m 길이의 산갈치를 발견해 화제를 모았다. 하지만 현지에서는 기쁨보다는 공포가 더 컸다.

산갈치는 지반이 흔들리는 등 이상 징후가 느껴지면 해저에서 가장 먼저 이를 감지하고 해수면으로 올라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산갈치가 발견되면 지진이 일어난다는 속설이 널리 퍼져있다.

현지 언론도 산갈치의 출현이 재앙의 전조일 수 있다는 속설에 주목해 집중 보도했다. 다만 아직까지는 추론에 불과해 산갈치의 행동과 생태계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대재앙과의 인과 관계를 풀어 낼 수 있다는 게 학계의 입장이다.

일명 ‘불의 고리’에 속한 칠레에선 2021년에만 총 7436회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전해졌다.

2020년 7월 알래스카에선 산갈치가 발견된 후 며칠 지나지 않아 강도 7.8 지진이 발생했다. 같은 해 멕시코에서도 산갈치가 나타난 후 열흘 만에 강도 7.5 지진이 발생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