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도피한 홍콩 ‘민주화 여신’, 수배령 떨어졌다…“평생 쫓길 것”

캐나다 도피한 홍콩 ‘민주화 여신’, 수배령 떨어졌다…“평생 쫓길 것”

김민지 기자
김민지 기자
입력 2024-02-07 07:24
업데이트 2024-02-07 07: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홍콩 민주활동가 아그네스 차우. AP 연합뉴스
홍콩 민주활동가 아그네스 차우. AP 연합뉴스
홍콩 민주화 운동의 얼굴로 꼽히는 아그네스 차우(周庭·27)에 대한 수배령이 떨어졌다. 차우는 현재 캐나다에 체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홍콩 더스탠더드 등에 따르면 지난 6일 홍콩 경찰은 “보석 조건을 어기고 도피한 차우는 법과 질서를 전적으로 무시했다”며 차우가 공식적으로 수배 대상이 됐다고 밝혔다.

경찰은 “차우가 법의 심판을 받도록 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도피범들은 홍콩에서 도망친다고 법적 책임을 피할 수 있다는 망상을 가져서는 안 된다”며 “자수하지 않으면 평생 쫓기게 될 것”이라고 엄포를 놨다.

차우는 현재 복역 중인 조슈아 웡과 함께 홍콩 민주화 운동의 주역으로 꼽힌다. 차우와 웡은 2016년 네이선 로와 함께 ‘데모시스토당’을 결성했다. 이들은 2019년 홍콩 시위 때 국제사회에 연대를 호소하는 활동을 해 중국 정부 눈 밖에 났다.

일본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차우는 일본에 홍콩의 민주화 운동을 알리는 역할을 하면서 ‘민주 여신’이라는 애칭도 얻었다.
이미지 확대
아그네스 차우 SNS
아그네스 차우 SNS
차우는 2019년 반정부 시위 도중 불법 집회 참가 혐의로 징역 10개월을 선고받고 2021년 6월 풀려났다.

투옥 직전인 2020년 8월에는 반중 일간지 빈과일보 사주 지미 라이 등과 함께 홍콩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도 체포됐다. 다만 당시 기소는 되지 않았고 경찰은 그의 여권을 압수했다. 이후 중국 선전을 방문하는 조건으로 여권을 돌려받았다.

경찰은 차우가 징역을 마치고 석방된 후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와 관련해 정기적으로 경찰에 출두할 것을 명령했다.

차우는 당국의 압박을 피해 지난해 9월 캐나다로 도피한 것으로 알려졌다. 차우는 같은 해 12월 자신의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토론토에서 석사 학위 과정을 밟은 지 3개월이 됐다고 알리며 “원래는 국가보안법 사건과 관련해 경찰에 출두하기 위해 이달 말 홍콩에 돌아갈 예정이었으나, 홍콩의 상황과 나의 안전, 정신적·육체적 건강 등을 신중히 고려한 끝에 돌아가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그는 “더 이상 하기 싫은 일을 강제로 하고 싶지 않고 강제로 중국 본토에 가고 싶지 않다”며 “이런 일이 계속되면 설사 내가 안전하다고 해도 내 몸과 마음은 무너질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최근 몇 년간 두려움 없는 자유의 가치를 깨달았다”며 “이제 더 이상 체포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고 마침내 하고 싶은 말을 하며 하고 싶은 것을 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김민지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