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권도전 선언후 길거리 유세 중 ‘일성’
대권 도전을 선언한 미국 민주당의 유력 주자인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정체 모를 자금의 정치권 유입을 막기 위한 개헌을 주장했다.지난 12일 대선 출마를 공식으로 선언하고 뉴욕 주에서 미국 대선의 초반 풍향계 역할을 하는 아이오와 주 첫 유세장까지 1만마일(1천600㎞) 거리 유세에 뛰어들고서 내놓은 일성이다.
15일(현지시간) 현지 언론에 따르면 클린턴 전 장관은 전날 아이오와 주 동쪽의 작은 마을인 몬티첼로의 커크우드커뮤니티칼리지에서 한 원탁회의에서 “우리는 고장 난 정치시스템을 고칠 필요가 있다”며 “헌법을 고쳐서라도 정체 모를 자금을 영원히 추방해야 한다”고 말했다.
클린턴 전 장관은 이러한 제안의 구체적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모금체제 개편을 자신의 캠프가 주력할 ‘4개의 큰 싸움’ 가운데 하나라는 점을 분명히했다.
나머지 3가지는 미래를 위한 경제 구축, 가족 및 공동체 강화, 위협으로부터의 국가 보호 등이다.
이와 관련, 미 의회전문지 더 힐(The Hill)은 선거자금과 위헌 결정을 뒤집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클린턴 전 장관의 구상도 이와 대동소이할 것이라는 관측인 셈이다. 이를 통해 정치자금 모금단체인 슈퍼팩의 무제한 선거자금 모금에 제한을 가하고 선거자금 내용의 공개범위도 확대하자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개정안은 미 의회에서 번번이 좌절된 것이어서 현실성에는 의문이 따른다는 지적도 나온다. 선거자금 모금이 제약받을 수 없는 정치적 발언의 한 형태라고 주장하는 공화당의 반대 때문이다.
이 때문에 클린턴 전 장관의 이날 개헌을 통한 선거자금 모금체제의 개편 주장은 이른바 ‘쩐의 전쟁’으로 변질된 미국 선거에 대한 비판 여론을 고려한 ‘클린 정치’ 선언으로 풀이된다.
이틀 전 아이오와 주에서 대선 대장정의 첫 유세 테이프를 끊으면서 ‘대중 속으로’의 유세를 표방하고 서민의 대변자가 되겠다고 선언한 연장선에서 나온 차별화 전략이라는 것이다.
한편, 더 힐은 유력 주자인 클린턴 전 장관의 자금 동원 능력과 더불어 선두 주자가 없는 후보가 공화당에서 난립하면서 2016년 대선 비용은 최대 50억 달러로 4년 전의 배에 육박할 것이라고 최근 보도했다. 그렇다면, 역대 최고의 돈선거가 될 만한 수준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