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59% “파리협정 탈퇴 반대”
지지율 36%… 역대 최저치 근접헤일리 “유엔인권이사회 예의주시”
전망과 달리 탈퇴 언급은 안 해
파리 기후변화협정 탈퇴 이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지지율이 하락하면서 또다시 백악관 참모진 교체설이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5일(현지시간) CNN 등은 여론조사기관 갤럽의 지난 1~3일 여론조사 결과를 인용, 파리 협정 탈퇴 선언 이후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이 36%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지난 3월 28일 최저치(35%) 지지율에 근접한 것이다. 이는 미국 국민의 절반 이상이 파리 협정 탈퇴를 반대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워싱턴포스트와 ABC의 지난 2~4일 공동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파리 협정 탈퇴에 대해 응답자의 59%가 반대했다. 찬성은 28%에 머물렀다. 정당별로 보면 민주당 응답자의 82%가 반대했고 공화당 응답자는 67%가 찬성해 대조적 반응을 보였다. 무소속 응답자 가운데 반대(63%)가 찬성(32%)을 압도했다. 또 미국의 리더십과 상관관계에 대한 질문에는 절반이 넘는 55%가 리더십의 타격을 걱정했다.
워싱턴의 한 소식통은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은 그가 취임 이후 처음으로 사우디아라비아, 이탈리아 등의 순방길에 올랐을 당시에 42%(갤럽 조사)로 뛰었지만 파리 협정 탈퇴 선언을 하면서 급락하고 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현대 미국 역사에서 가장 지지율이 낮은 대통령이 될 가능성이 커졌다”고 내다봤다.
이렇게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이 곤두박질치자 또다시 백악관 참모 교체설이 떠오르고 있다. 전날에 이어 5일도 숀 스파이서 백악관 대변인이 아닌 세라 허커비 샌더스 수석 부대변인이 언론 브리핑을 하면서 ‘스파이서 경질설’이 다시 돌고 있다. 또 백악관 참모진의 전면 교체설도 끊이지 않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 스캔들’ 등 각종 논란에 참모진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며 불만을 드러내고 있다고 현지 언론은 전했다.
한편, 니키 헤일리 주유엔 미국 대사는 6일 스위스 제네바 유엔사무국에서 열린 유엔 인권이사회 제35차 정기총회에서 그가 미국의 인권이사회(UNHRC) 탈퇴를 공식 언급할 것이라는 전망과 달리 탈퇴라는 ‘폭탄선언’은 하지 않았다.
헤일리 대사는 총회에서 “미국은 인권이사회를 예의주시하면서 계속 참여할지를 고려하고 있다”며 “이사회는 이스라엘에 대한 고질적인 비판을 중단해야 한다”고만 말했다.
이날 헤일리 대사의 연설을 앞두고 ‘세계의 대통령이 아닌 미국의 대통령’을 고수하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이 유엔인권이사회도 탈퇴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지만 헤일리 대사는 예정됐던 시간보다 짧은 연설에서 베네수엘라 등을 집중적으로 비판하면서 발언 수위를 조절했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2017-06-07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