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내년 2월 열리는 평창동계올림픽을 겨냥해 사이버 공격을 가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평창올림픽을 노리고 북한이 대규모 사이버테러를 감행할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미국 사이버전문가들에게서 나왔다. 안주영기자 jya@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평창올림픽을 노리고 북한이 대규모 사이버테러를 감행할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미국 사이버전문가들에게서 나왔다. 안주영기자 jya@seoul.co.kr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19일(현지시간) 미국 보안전문가들의 입을 빌어 북한이 지난 10년간 은밀하게 6000여명의 사이버 전사를 키웠으며 내년 평창올림픽을 노리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표했다.
사이버보안업체 파이어아이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고기술책임자(CTO) 블라이스 볼랜드는 “북한은 많은 조직에 심각한 지장을 줄 수 있는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프리실라 모리우치 전 국가안보국(NSA) 동아태 사이버안보부장은 “북한은 혼란을 일으켜 한국의 이미지를 실추하려는 것이 목표인 만큼 사이버 영역에서 뭔가 일을 벌일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계열의 안보싱크탱크인 신미국안보센터(CNAS) 패트릭 크로닌 아시아태평양안보소장 역시 “평창 동계올림픽이 사이버 공격의 중요한 기회가 될 수 있다”며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르기 위한 남한의 노력에 찬물을 끼얹기 위해 사이버상에서 가능한 모든 위해를 예상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크로닌 소장은 “현재 미국과 북한간 긴장이 고조돼 있는 만큼 지난 5년간 보여왔던 것보다 더 심각한 행동을 할 지도 모른다”며 “우리와 우방, 동맹국, 국제사회의 사이버 네트워크는 초보적인 공격에도 위험하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