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에서 맥주 만드는 ‘인간양조장’ 질병 있다?

몸에서 맥주 만드는 ‘인간양조장’ 질병 있다?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입력 2019-10-27 15:03
수정 2019-10-27 15: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픽셀.com
픽셀.com
장내 효모, 탄수화물을 알코올로
술 안마셔도 음주단속 적발 가능
알코올 중독 증상, 금단현상까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도로에서 한 남성이 “나는 술을 마시지 않았다”며 경찰 음주 측정을 거부해 병원으로 호송됐다. 병원에서 채혈 검사를 한 결과 그의 혈중 알코올 농도는 0.2%로 법정 한도의 2.5배였다. 그럼에도 그는 맹세코 아무것도 마시지 않았다고 말했다. 경찰과 의사 누구도 그를 믿지 않았다.

하지만 뉴욕 리치먼드대 의학센터 연구원들은 그 남자가 진실을 말했다는 것을 알게 됐다. 그는 어떤 술도 마시지 않았지만 대신 그의 장에서는 음식물에 든 탄수화물을 알코올로 바꾸는 효모가 발견됐다. 다시 말해 그의 몸은 맥주를 만들고 있었다.

26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이번 연구 결과 신원이 밝혀지지 않은 이 남성은 ‘내장 발효증후군’이라는 굉장히 희귀한 의학적 상태로, ‘자동 양조 증후군’이라고도 불린다. 이 증세는 섭취한 탄수화물을 위장관 속 효모가 알코올로 전환하는 것을 말한다.

술을 마시지 않아도 취할 수 있는 인생이라면 일면 매력적으로 보일 수 있겠지만, 자동 양조 증후군 역시 엄연한 질병이며 알코올 중독과 똑같은 증세를 나타낸다. 평소 술냄새, 호흡, 비틀거림, 나른함 등의 증세를 보이는 데다, 항진균제로 증상의 원인을 없앨 수 있는데 그런 뒤엔 우울감, 기억력 상실, 공격성 등 알코올 금단현상 같은 성격 변화가 나타나기도 한다.

음주운전 혐의로 체포됐던 남성은 친지의 설득으로 오하이오주에서 치료를 받기로 했다. 의사들은 그의 대변에서 두 종류의 효모를 발견했는데 맥주나 와인 양조, 제빵 등에 흔히 사용되는 효모였다. 그는 치료 기간 동안 특별한 보충제를 처방 받고 탄수화물 없는 엄격한 식단을 권고 받았다. 하지만 몇주 뒤 다시 증세가 나타났으며, 넘어져 뇌출혈을 경험하기도 했다.

그는 리치먼드 의대 연구원들과 연락을 취했고, 연구진들은 그가 수년 전 복용한 한 항생제에서 원인을 찾았다. 이들은 그에게 항진균 치료법과 생균제 처방을 병행해 내장 속 박테리아 환경을 정상화시키려 노력했다. 그는 연구진 몰래 피자와 탄산음료를 마신 뒤 질병이 재발된 한 번을 빼고는 치료에 진전을 경험했다. 현재 그는 다시 피자를 먹을 수 있으며, 간간이 호흡 알코올농도 측정을 하는 걸 빼면 일반인과 똑같은 생활을 하고 있다고 CNN은 전했다.

자동 양조 증후군은 거의 진단되지 않는 희귀 질환으로, 기록된 연구조차 몇 건 밖에 없다. 옛날엔 신화로 여겨지기도 했다. 1912년에 처음 사례가 보고됐으며, 1930~1940년대에 비타민 결핍과 자극성 장 증후군의 원인으로 연구된 적이 있다. 1970년대 일본에서 환자 20~30명이 한꺼번에 나타났지만 미국에서는 1980년에야 첫 사례가 보고됐다. 2013년 61세 남성이 항상 술에 취한 듯한 증세를 보이다 이 질환을 진단 받았고, 2015년 뉴욕주 북부에서 한 여성이 음주운전으로 적발됐다가 이 질환을 앓고 있다는 증거를 제시한 뒤 풀려났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