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들은 대체로 부정적 반응…일부는 “내겠다”
지난 1일 노동절을 기념한 미국 피츠버그 시위에서 한 시민이 창문에 월세를 없애 달라고 쓴 차량에 서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피츠버그 AP 연합뉴스
미국의 동네 식당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식자재 가격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 배달·포장 음식에 ‘코로나19 할증료’를 청구하기 시작했다. 코로나19로 육류 가격이 급등하는 등 식료품 물가가 치솟자 자구책을 마련한 것이다.
14일(현지시간) 폭스뉴스 등에 따르면 미주리주에서는 최근 음식값에 5%의 코로나19 추가 요금을 부과하는 식당과 카페가 등장했다.
미주리주 웨스트플레인의 ‘키코 스테이크 하우스’는 이번 주부터 식자재 원가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 코로나19 할증료를 손님에게 청구했다.
미 노동부가 전날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4월 식료품 물가는 2.6% 상승했다. 한 달 상승률로는 46년 만에 최대치였다. 계란은 16.1% 급등했고, 가금류(4.7%)와 쇠고기(3.7%), 돼지고기(3.0%), 빵(3.7%) 가격이 모두 올랐다.
키코 스테이크 하우스는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소고기와 돼지고기, 해산물과 농산물 가격이 상승해 모든 메뉴의 가격을 올리는 대신에 추가 요금을 부과하기로 했다”며 원재료 수급 사정이 나아지면 추가 요금은 낮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식당은 영업을 근근이 유지하고 종업원에게 임금을 주기 위해선 코로나19 할증료는 불가피한 조치라고 양해를 구했다.
이런 코로나19 할증료 사례는 테네시, 미시간, 캘리포니아주 등 미국 전역으로 확대되는 모습이다. 미 현지 언론들은 고객의 반응이 대체로 부정적이라고 전했다.
코로나19 할증료가 찍힌 영수증을 소셜미디어에 올려 불만을 표시하는가 하면 원가 상승을 손님에게 전가하고 있다며 항의 전화를 하는 식이다. 그러나 일부 고객은 어려운 동네 식당을 돕기 위해 코로나19 추가 요금을 선뜻 내겠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고 폭스뉴스는 전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피츠버그 AP 연합뉴스

지난 1일 노동절을 기념한 미국 피츠버그 시위에서 한 시민이 창문에 월세를 없애 달라고 쓴 차량에 서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피츠버그 AP 연합뉴스
피츠버그 AP 연합뉴스
14일(현지시간) 폭스뉴스 등에 따르면 미주리주에서는 최근 음식값에 5%의 코로나19 추가 요금을 부과하는 식당과 카페가 등장했다.
미주리주 웨스트플레인의 ‘키코 스테이크 하우스’는 이번 주부터 식자재 원가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 코로나19 할증료를 손님에게 청구했다.
미 노동부가 전날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4월 식료품 물가는 2.6% 상승했다. 한 달 상승률로는 46년 만에 최대치였다. 계란은 16.1% 급등했고, 가금류(4.7%)와 쇠고기(3.7%), 돼지고기(3.0%), 빵(3.7%) 가격이 모두 올랐다.
키코 스테이크 하우스는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소고기와 돼지고기, 해산물과 농산물 가격이 상승해 모든 메뉴의 가격을 올리는 대신에 추가 요금을 부과하기로 했다”며 원재료 수급 사정이 나아지면 추가 요금은 낮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식당은 영업을 근근이 유지하고 종업원에게 임금을 주기 위해선 코로나19 할증료는 불가피한 조치라고 양해를 구했다.
이런 코로나19 할증료 사례는 테네시, 미시간, 캘리포니아주 등 미국 전역으로 확대되는 모습이다. 미 현지 언론들은 고객의 반응이 대체로 부정적이라고 전했다.
코로나19 할증료가 찍힌 영수증을 소셜미디어에 올려 불만을 표시하는가 하면 원가 상승을 손님에게 전가하고 있다며 항의 전화를 하는 식이다. 그러나 일부 고객은 어려운 동네 식당을 돕기 위해 코로나19 추가 요금을 선뜻 내겠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고 폭스뉴스는 전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